미국 재무부, 중국과 스톡홀름에서 관세 연장 논의 예정

미국 재무부의 스콧 베선트 장관이 다가오는 28일과 29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중국과 제3차 고위급 무역 협상을 열어 고율 관세 인하 조치의 연장 가능성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합의는 8월 12일에 만료된다"며, 관세 인하 조치 연장을 위한 논의가 핵심 주제가 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미국과 중국은 지난 5월 스위스 제네바에서의 첫 협상에서 각국의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90일 동안 각각 115%포인트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이로 인해 미국은 30%, 중국은 10%의 관세율을 현재 적용하고 있으며, 스톡홀름에서의 회의에서는 이 임시 관세 인하 조치가 계속될 수 있을지 여부가 주된 쟁점이 될 예정이다.
지난달 런던에서 열린 2차 협상에서는 수출 통제 조치 완화 문제를 논의했으며, 이후 미국은 대중 반도체 수출 일부를 허가했고, 중국은 미국에 대한 희토류 및 영구자석 수출을 증가시키기로 했다. 베선트 장관은 인터뷰에서 중국과의 무역 상황이 매우 긍정적이라고 언급하며 양국 간의 다양한 문제들을 논의할 계획임을 밝혔다.
그는 또한 중국이 현재의 제조업 과잉 생산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자 중심의 경제로 전환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의견을 주고 받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더욱이 베선트 장관은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오는 8월 1일에 만료됨에 따라 주요국들과의 무역 합의가 속속 체결될 것으로 예상하고, 일본과의 신속한 합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한국 정부는 관세 유예 마감 시점을 앞두고 25일 미국과의 최종 담판을 진행할 예정이다. 베선트 장관은 "8월 1일이 엄격한 마감일"이라며 "이는 관세 수준이 4월 2일에 발표된 상호적인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다른 국가들이 더 높은 관세에서 협상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들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관계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중요성을 다시금 부각시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