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미국과 관세 협상 결렬 시 30% 보복관세 부과 예정

유럽연합(EU)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실패로 끝날 경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0%의 보복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23일 보도했다. 보복관세 대상에는 항공기, 자동차, 버번 위스키 등 다양한 미국산 제품이 포함될 예정이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EU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안한 상호관세율과 동일한 비율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미 미국이 예고한 30%의 관세율과 일치하며, 유럽은 기존에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대응 조치로 210억 유로(약 33조9000억원), 자동차 및 기타 제품에 대해 721억 유로(약 116조3000억원)의 보복관세 목록을 보유하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이러한 보복관세 패키지를 통합해 회원국의 승인을 받을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다만, 협상이 타결되지 않고 미국이 내달부터 경고한 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할 경우에만 이 조치를 발동할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EU에 보낸 편지를 통해 상호관세율을 기존 20%에서 30%로 상향 조정하며, 협상이 무산되면 다음 달 1일부터 새 요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통보한 바 있다. EU는 이로 인해 미국의 '기본관세'에 해당하는 10%로 상호관세율을 낮추고, 항공기, 자동차, 와인 등 일부 주요 제품의 세금을 인하 또는 면제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측이 15~20%의 상호관세를 주장하고 있으며, 일부 면제 요구에 대해서도 반응하지 않음에 따라 EU 내에서 강경 대응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본 또한 미국의 자동차 및 농산물 시장 개방과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 사업에 대한 투자를 약속했으나,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그쳤다.
이런 배경 속에서 EU는 더욱 강력한 대처 방식으로 미국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입장을 점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EU의 보복관세 조치는 미국 기업들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양국 간의 경제적 긴장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경제가 불안정한 가운데 이러한 상황은 양측의 무역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