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 37%로 하락…역대 최저치 기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2기 대통령직 취임 이후 최저 수준인 37%로 떨어진 것으로 수치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는 지난달 40%에서 3%포인트 감소한 수치로, 최근 7일간(7~21일) 실시된 갤럽 조사에 따른 것이다.
가장 큰 하락폭을 보인 집단은 정치적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으로, 이들 중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이 29%에 그쳤다. 이는 지난달보다 무려 7%포인트 하락한 결과로,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초반에는 이 지지층의 긍정 평가가 46%에 달했음을 고려할 때 그 하락폭이 더욱 두드러진다.
또한, 민주당 지지자 가운데에서는 오히려 긍정 평가 비율이 한 자릿수 초반에 머물렀으며, 설문조사에 응답한 민주당 지지자 중 단 2%만이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공화당 지지자들 가운데서는 89%가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어, 당내 지지율은 여전히 탄탄한 기반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여론조사 결과는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대중의 판단이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특히 무당층의 심리적 변화는 향후 정치적 연대나 선거 전략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남은 임기 동안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과제를 안고 있으며, 정치적 지지층의 넓히기 위한 전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역사적으로도 낮은 수치로, 이는 그동안 계속된 사회적 갈등과 여론의 대립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향후 남은 임기 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이러한 낮은 긍정 평가를 어떻게 반전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