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AI 전문가보다 호기심과 문제 해결 능력을 중시하는 인재상 공개

오픈AI가 자사의 인재상과 채용 철학을 발표하며, AI 전문성이 아닌 호기심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채용 책임자인 호아킨 키뇨네로 칸델라는 최근 대담 형식의 온라인 포럼에서 "우리는 동기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AI 전문가인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고 전했다. 그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오픈AI에 합류할 수 있으며, 실제로 물리학 전공자와 전직 프로 포커 선수도 포함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오픈AI는 문제 해결 능력과 자율성, 실행력, 빠른 학습 능력, 그리고 새로운 도전에 대한 두려움 없는 태도를 핵심적으로 요구한다고 밝혔다. 호아킨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사고방식을 가진 끊임없이 배우는 탐험가 같은 사람"을 원한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인재상이 불확실한 환경에서도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임을 강조했다.
'겸손' 역시 오픈AI에서 중요한 덕목으로 지적되었다. 그는 겸손이란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배우려는 자세를 의미하며, 직위나 타이틀보다 팀으로서의 성공과 성장에 더 가치를 두는 사람을 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조직 내에서 협업과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오픈AI는 AI 비전공자를 위한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6개월 간의 교육을 통해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이는 AI 연구 커리어의 발판을 마련해 주는 기회로, 전문 능력이 부족한 지원자도 충분히 도전해 볼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호아킨 본인 또한 끊임없는 배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스페인에서 전자통신공학을 전공한 후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페이스북, 링크드인에서 경력을 쌓았다. 최근 오픈AI에 합류하였고, 기술적 미비함을 느껴 스스로 인턴으로서 코딩 실무를 다시 경험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지원하기도 했다. 그의 이러한 경험은 본인의 성장과 동료들의 성장에 기여하고자 하는 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의 경험을 통해 호아킨은 현재 다시 채용 책임자로서 후진을 양성하고 팀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이는 오픈AI가 원하는 인재상과 잘 맞아떨어지며, 인재 채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사례로 부각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