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 초등학교에 추락한 중국산 전투기, 수십명 사상 초래

최근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한 중국산 전투기 F-7BGI의 추락 사고로 인해 31명이 사망하고 165명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했다. 이렇듯 심각한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는 중국산 전투기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다시금 불거지고 있다. 방글라데시 공군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여러 대의 중국산 전투기를 운용해왔지만, 그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방글라데시 다카의 마일스톤 스쿨 앤 칼리지 캠퍼스에 추락한 공군 훈련용 항공기는 훈련 중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해당 사고 후에도 방글라데시 내에서 중국산 전투기의 신뢰성과 관련된 문제는 큰 논란이 되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공군의 전직 장교는 잦은 추락 사고의 주된 원인이 중국산 전투기에 있다고 주장하며, 정치적 이유와 비용적 제약으로 인해 대체 항공기를 도입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방글라데시 공군은 지난 30년간 최소 27건의 추락 사고를 기록했으며, 2005년 이후 발생한 11건 중 7건이 중국산 전투기에서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고의 원인으로는 기계적 결함이 대다수였으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공군의 안전성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더욱이, 방글라데시 공군은 유럽산 전투기로의 업그레이드를 권고받고 있지만, 경제적 이유로 인해 저렴한 중국산 전투기를 계속해서 운용하고 있다는 점은 특히 고심해야 할 문제다. 군의 한 항공 안전 분야 담당자는 이러한 상황이 조종사와 공공 안전 모두를 위태롭게 한다고 경고했다.
사고 발생 이후 중국 정부는 자국산 전투기 신뢰도 하락을 우려해 언론 보도를 통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방글라데시는 최근 중국산 J-10C 구매를 검토 중이었으나, 이번 사고로 인해 중국산 전투기에 대한 불신이 확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방글라데시의 군사력 강화와 국제 방산 시장에서의 경쟁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 사회에서도 이러한 사고를 주목하고 있으며, 방글라데시의 군사 정책 및 항공 안전 관련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향후 방글라데시가 이러한 위기를 기점으로 새로운 전투기 및 방산 정책을 수립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