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 카다시안도 "한국에서 피부 관리 받고 싶어"…15년 동안 117배 증가한 피부과 외국인 환자

지난 15년간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 중 피부과 진료를 받은 숫자가 무려 117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에는 외국인 환자 70만5044명이 피부과 진료를 받았으며, 이는 전년도 23만9060명에서 세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이는 세계적 셀럽 킴 카다시안이 한국 방문 중 피부 시술을 받는 모습이 알려지면서 한국 피부과의 인기가 실질적으로 더해졌음을 시사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4 외국인 환자 유치실적 통계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이 시작된 2009년의 6015명과 비교할 때, 피부과 환자 수는 약 15년 동안 급격히 증가했다. 이 기간 동안 한국을 찾은 전체 외국인 환자 수는 약 19배 증가한 반면, 피부과 진료 환자의 증가율은 그보다 훨씬 빠른 상승세를 보여 주목할 만하다.
진료 과목별 통계에서도 피부과는 전체 환자 중 56.6%를 차지하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09년에는 외국인 환자 중 피부과의 비중이 9.3%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그 수치가 절반을 넘기며 재편된 시장에서 극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2024년 기준으로 보더라도, 성형외과(11.4%), 내과통합(10.0%), 검진센터(4.5%)가 뒤를 이어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해 경쟁하고 있는 상태다. 의원급 진료의 경우 피부과가 무려 72.6%를 차지하고 있어, 피부과 분야의 위상이 더욱 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5년간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에는 내과통합이 19.2%로 외국인 환자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2023년부터는 피부과가 이 부문에서 1위로 올라섰다는 변화가 있다. 지난해 피부과 진료를 받은 환자의 국적별 비율을 살펴보면, 일본이 43.7%로 가장 높고, 그 뒤로 중국(24.4%), 대만(9.6%), 미국(5.7%), 태국(3.5%) 순이다.
한국의 낮은 시술 비용과 높은 효과성, 그리고 사후 관리의 우수함이 알려지면서, '피부과 원정'은 이제 단순한 진료를 넘어 한국 여행의 중요한 명소로 자리 잡았다. 특히 킴 카다시안은 서울의 여러 유명 피부 클리닉을 방문하고 그 경험을 인스타그램에 공유하여 더욱 더 화제가 되었다. 그녀의 방문은 한국 피부과 산업의 글로벌한 인지도를 높이고 외국인 환자의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의 피부과 산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문화 관광과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한국의 피부과는 세계적인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더욱 굳건히 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