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벙커에서 월세 부담을 덜다…캘리포니아에서 월세 4분의 1로 생활하는 여성"

캘리포니아에서 월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한 여성이 지하 벙커에서 생활하고 있는 이야기가 주목받고 있다. 뉴욕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여성의 이름은 케이틀린 존슨으로, 지난해 4월 뉴욕에서 캘리포니아로 이주한 후 친구의 집 뒷마당에 위치한 지하 벙커를 월세 500달러(한화 약 68만 원)에 임대하여 거주하고 있다.
그녀가 거주 중인 이 벙커는 주거에 필요한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며, 침대는 2층으로 된 18개와 화장실 2개, 그리고 샤워실도 마련되어 있어 비교적 넓은 구조를 자랑한다. 이 벙커는 이전 집주인이 만든 시설로, 케이틀린의 친구가 2022년 이 주택을 매입하면서 발견되었다.
케이틀린은 뒷마당과 벙커의 관리 업무를 맡는 조건으로, 현 시세에 비해 훨씬 낮은 가격에 거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녀는 "캘리포니아에서는 원룸 하나만 임대해도 월 1500~2000달러(약 200만∼270만 원) 이상이 기본"이라며, 벙커 생활을 통해 매달 약 1500달러를 아끼고 있다고 말했다.
지하 공간인 만큼 일반적인 주거환경과는 차이가 있지만, 케이틀린은 "조용하고 전화 신호나 와이파이도 잘 터져서 생활에 큰 불편함은 없다"라고 밝혔다. 또한, 자연광이 거의 들어오지 않는 특성 덕분에 수면의 질이 오히려 개선되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지하에서 생활하는 것에는 시간 개념이 흐려지는 단점도 있다. 그녀는 "두꺼운 문이 두 개 있어 낮에는 열어두고 자연광을 들어오게 한다"며, 겨울철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야외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서 큰 지장은 없다고 설명했다. 케이틀린은 "이곳이 평생의 집은 아니겠지만 현재는 매우 만족하고 있다"며, 과거에 뉴욕에서 벙커보다 더 열악한 집에 살았던 경험도 회상했다.
1950~1960년대 미국과 소련 간 냉전 기간 동안에는 핵 공격에 대비하여 많은 가정에서 지하 벙커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당시에는 민방위 차원에서 이러한 벙커의 설치를 권장하기도 했다. 현재 케이틀린의 선택이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을 떠올리게 하며, 현대의 주거비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여겨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