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부, 북한의 캄보디아 해킹으로 인한 가상자산 세탁 경로 차단 예고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미 재무부, 북한의 캄보디아 해킹으로 인한 가상자산 세탁 경로 차단 예고

코인개미 0 10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미국 재무부가 북한의 해커 조직 '라자루스 그룹'이 캄보디아의 민간 금융기관인 '휴이온 그룹'을 통해 가상자산을 세탁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식 발표하며, 이에 대한 금융 제재를 예고했다. 미 정부는 북한이 제3국 금융시스템을 악용하여 불법 자금을 세탁하고 있다는 점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구체적인 조치를 취한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2일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미 재무부 산하 금융범죄단속국(FinCEN)은 휴이온 그룹을 라자루스 그룹이 탈취한 약 40억 달러 규모의 가상자산 세탁 경로로 공식 지목하며, 해당 금융기관을 블랙리스트에 포함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블랙리스트에 오르게 되면 미국 내 모든 금융기관과의 거래가 금지되며, 달러 결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이미 지난 5월, 미 재무부는 휴이온 그룹을 '주요 자금세탁 우려 금융기관'으로 지정한 바 있으며, 북한의 해커 조직과 연관된 제3국 금융기관이 제재 대상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미 재무부는 북한 정권과 관련이 깊은 라자루스 그룹이 제재로 인해 고립된 북한의 자금줄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들이 탈취한 자금이 불법적인 군사 프로그램 자금으로 흘러들어갔을 것으로 보고 있다.

라자루스 그룹은 2009년부터 사이버 범죄를 저질러온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 미국 소니픽처스 해킹 사건, 2016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해킹, 2017년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과 같은 큰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어왔다. 이들이 탈취한 자산의 총액은 수십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전문가들은 2024년에 북한이 가상자산을 통해 탈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이 역대 최고치인 13억 4천만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 자금은 주로 대량살상무기(WMD) 및 핵 개발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된다.

이번 조치는 미국 정부가 라자루스 그룹의 불법 행위와 그들이 탈취한 가상자산이 어떻게 전 세계 금융 시스템으로 유입되고 세탁되는지를 공식적으로 추적하여 제재한 결과로서, 그 의미가 크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휴이온 그룹이 북한 및 국제 범죄조직들이 수십억 달러를 세탁하는 데에 사용되는 '사이버 범죄의 장터' 역할을 해왔다"며, 이번 금융 제재가 범죄 자금의 흐름을 차단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미국 정부의 이번 제재 조치는 북한의 사이버 범죄 활동과 그로 인한 국제적 영향력에 대해 강력히 대응하는 조치로 평가된다. 북한은 이제 사이버 범죄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국 사법당국은 이를 러시아, 중국, 이란과 함께 세계 4대 사이버 위협국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정황은 북한의 사이버 범죄 활동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경고 음악이 되고 있다.

Linked Image
0 Comments

공지사항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