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네트워크(Pi Network) 생태계 확장에도 불구하고, PI 가격 23% 하락…1억 2,000만 개 토큰의 잠금 해제 우…
파이네트워크(Pi Network)의 생태계 확장 작업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네이티브 토큰인 파이(PI)의 가격은 크게 하락했다. 최근 짧은 반등을 보여줬지만, 투자자들의 심리가 위축되면서 단기 급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파이네트워크는 지난달 프로토콜을 기존 v19에서 v23으로 업그레이드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버전은 스텔라(Stellar)의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KYC(고객신원확인) 기능과 커뮤니티 중심의 분산 운영 방식이 강조됐다. 특히 지난 28일에는 테스트넷2(Testnet 2)의 v23 버전이 활성화되며, 네트워크의 규칙이 새롭게 정비됐다. 이 변화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업그레이드 덕분에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SCP)과의 호환성이 강화되었으며, 스마트 계약과 디파이(DeFi) 기능의 구현은 물론 커뮤니티 대시보드와 모니터링 툴이 동기화되는 등의 혁신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향후 투표와 거버넌스 관련 제안들이 새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기술적 업데이트 외에도 파이네트워크는 사용자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블록체인 해커톤 ‘파이 해커톤 2025’를 운영 중이다. 이 해커톤은 지난 8월 말 시작되어 총 상금 16만 PI를 걸고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대회 종료를 알리는 공식 발표는 아직 없는 상태이다.
시장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10월 27일, PI 가격은 20% 이상 상승해 0.30달러(약 417원)에 도달했지만, 단 하루 만인 28일에는 다시 0.23달러(약 320원)로 하락하며 7% 가까운 일일 하락폭을 기록했다.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반등에 따라 급등했으나, 펀더멘털이 이를 뒷받침할 충분한 요소가 부족하다는 분석이 뒤따르고 있다.
더욱이 향후 30일간 잠금 해제될 것으로 예상되는 PI 물량은 1억 2,000만 개를 넘는 상황이다. 장기간 잠금되어 있던 토큰의 대규모 유통은 매도세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의 취약한 수급 구조에서는 단기 조정의 위험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파이네트워크의 최근 기술적 발전과 커뮤니티 중심의 생태계 강화 노력은 긍정적이지만, 가격 안정성과 수급 구조의 완전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시장의 일반적인 견해다. 따라서, 향후 가격 상승 흐름이 오래 유지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함께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