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및 리시(LEASH) 공급량 문제, 스마트계약 리베이스 기능이 원인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시바이누(SHIB) 및 리시(LEASH) 공급량 문제, 스마트계약 리베이스 기능이 원인

코인개미 0 4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시바이누(SHIB)의 핵심 개발자인 칼 다이리야(Kaal Dhairya)는 최근 도지킬러 리시(LEASH)의 공급량이 급증한 사건에 대해 커뮤니티의 우려에 직접 대응하며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날 확인된 바에 따르면, 리시의 총 공급량이 약 10% 증가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SHIB 생태계 내에서 ‘중앙화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다이리야는 2025년 8월 11일 스마트계약의 리베이스(rebase) 기능이 여전히 활성화되어 있었음을 공언하였습니다. 리베이스 기능은 토큰의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매커니즘으로, 이 기능을 통해 이날에만 총 1만765개의 리시가 신규 발행되었습니다. 이는 오랜 기간 동안 리시의 고정 공급량을 믿어왔던 커뮤니티에 상당한 ‘신뢰의 훼손’으로 비쳐졌습니다.

논란의 핵심은 스마트계약에 사전 승인된 경로가 존재하여 별도의 개발자 개입 없이도 발행량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다이리야는 이러한 상황을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신뢰를 훼손하는 행위”라고 강력하게 비판하며, 이러한 구조는 겉보기에는 탈중앙화처럼 보일지라도 실제 운영의 중심이 여전히 중앙화되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태의 심각성이 확대되자, 다이리야는 새로운 스마트계약인 LEASH v2를 도입하기 위한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투표를 제안했습니다. 그는 기존 개발자들과 협상하여 현재의 계약을 수정하거나 완전히 리시 v2라는 새로운 토큰 계약을 구축하여 보안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새 계약은 외부 감사를 통과하여 리베이스와 백도어와 같은 기능이 제거된 형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커뮤니티의 반응은 상반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부 사용자들은 가능한 한 빨리 DAO 거버넌스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다른 이들은 SHIB 생태계 내 다른 토큰에서도 유사한 위험이 존재하는지 점검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리시의 새로운 버전이 도입될 경우 기존의 공급량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지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입니다.

한편, 시바이누 프로젝트의 마케팅 책임자인 루시(Lucie)는 리시 사태 이후에도 SHIB 생태계에 흥미로운 일정이 기다리고 있으며, 커뮤니티 안정화와 확장성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번 리시 공급 논란은 단순한 기술 오류 이상의 문제로, SHIB 생태계 전반의 투명성과 구조 개편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