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힘입어 스트래티지와 테더, 2025년 2분기 사상 최대 실적 발표

비트코인(BTC)의 가격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이를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실적도 눈에 띄게 개선되고 있다.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CEO가 이끄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에서 이름을 변경한 '스트래티지(Strategy)'와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Tether)'는 2025년 2분기 동안 각각 역대 최대의 수익 실적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스트래티지는 2025년 2분기 동안 100억 달러(약 13조 9,000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창립 이래 최고의 분기를 보냈다. 주당 순이익(EPS)은 32.60달러에 달하며, 이는 전년 동기 1억 2620만 달러(약 1,755억 원)의 손실에서 극적인 반등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적 향상은 스트래티지가 비트코인 투자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한 덕분으로 평가된다. 현재 스트래티지는 총 62만 8,791개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매입 원가는 460억 달러(약 63조 9,400억 원)로, 현재 평가가는 727억 달러(약 100조 1,300억 원)에 달한다.
올해 들어 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 수익률(BTC Yield)이 25%에 달하며, 특히 2분기에는 미실현 수익으로만 140억 달러(약 19조 4,600억 원)를 올렸다. 이에 따라 연간 목표 비트코인 수익률을 25%에서 30%로, 수익 기대치를 150억 달러에서 200억 달러로 상향 조정하였다. CEO인 폰 리(Phong Le)는 "이번 성과는 스트래티지의 비트코인 저장 전략의 규모와 투자 신뢰도를 입증한다"고 강조했다. CFO 앤드류 강(Andrew Kang)도 "글로벌 주요 상장사와 비교해도 손색 없는 분기 실적"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세일러 회장은 실적 발표에 즈음하여 미국 정부에 디지털 자산 분류 기준의 명확화를 요구하며, 디지털 자산의 토큰화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와 같은 요구는 디지털 자산 규제의 필요성을 다시금 일깨우는 신호로 해석된다.
한편, 테더 또한 2025년 2분기 동안 49억 달러(약 6조 8,100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77%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올해 상반기 목표인 57억 달러(약 7조 9,200억 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치로, 그 중 31억 달러(약 4조 3,100억 원)는 지속 가능한 수익원에서 발생하였고, 나머지 26억 달러(약 3조 6,100억 원)는 금 및 비트코인 보유로 인한 평가 이익에서 기인하였다.
2025년 6월 30일 기준으로, 테더는 총 발행된 USDT(테더 달러) 1,571억 달러(약 218조 3,900억 원)에 대해 1,625억 달러(약 225조 8,800억 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54억 달러(약 7조 5,100억 원)의 비축액을 의미한다. 이는 유동성이 100%를 초과하는 건전한 재무 구조로 해석되며,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번 두 기업의 실적 발표는 비트코인 시장의 회복 흐름이 상장 기업과 주요 인프라 제공자들의 실질적 재무 성과로 이어진 강력한 사례로 평가된다. 이러한 변동성 안에서도 비트코인의 기관 투자 확대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져가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