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리퀴드(HYPE), 고래 자산 실현에도 43달러 지지선 유지…ETH로 자금 이동 감지

하이퍼리퀴드(HYPE)가 최근 조정세에도 불구하고 43달러(약 5만 9,770원) 지지선을 탄탄히 지키며 상승 채널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특히, 한 고래 투자자가 HYPE에서 막대한 이익을 실현하고 이더리움(ETH)으로 자금을 재배분하는 등 큰 규모의 자금 흐름이 관찰되면서 향후 추가 반등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1일 기준, 하이퍼리퀴드는 44달러(약 6만 1,160원)에서 거래되며, 하루 동안 2% 상승하고 주간 기준으로는 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4월 이후 이어지고 있는 완만한 상승 추세선 내에서 고점과 저점이 연이어 상승하고 있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준다. 하단 추세선에서 성공적으로 반등하며 매수 심리가 여전히 활발하다는 신호를 주고 있다.
기술적 지표 또한 주목할 만하다. 스토캐스틱 RSI는 매도세 과열 구간인 20 이하로 떨어져 현재 19.83과 17.51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단기적으로 가격 반전 가능성을 나타내는 신호로, 일부 투자자들은 빠른 시일 내에 회복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RSI 선 간의 골든크로스가 아직 발생하지 않아 관망세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거래 흐름 측면에서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에 따르면, 한 대형 지갑이 최근 HYPE 포지션을 정리하며 약 1,360만 달러(약 189억 800만 원)의 수익을 실현했다. 이어 이 자금을 3,322 ETH(약 1,284만 달러, 약 178억 5,760만 원)로 재배분했으며, 이는 HYPE에서 ETH로 유입되는 투자 심리를 반영한다. 반면, 제임스 윈은 같은 플랫폼에서 무리한 레버리지 거래로 인해 100만 달러(약 13억 9,000만 원) 이상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하이퍼리퀴드는 거래소 차원에서도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2분기 동안 약 6,480억 달러(약 902조 7,200억 원)의 거래량을 기록했으며, 최근 12개월 동안의 누적 거래량은 1.57조 달러(약 2천 1조 2,300억 원)에 이르렀다. 이는 현재 영구계약형 탈중앙화 거래소(Perp DEX) 시장에서 60% 이상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뒷받침된다.
다만 최근 API 문제로 인해 일부 사용자에게 거래 오류가 발생했던 일이 있었으며, 하이퍼리퀴드 측은 보안 문제가 아닌 트래픽 급증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HYPE는 43달러선과 9일 이동평균선에서 지지를 받고 있으며, 하방으로는 42달러, 36달러, 32.5달러 구간이 더 추가되면서 안정적인 지지선으로 거론되고 있다. 반대로 저항선으로는 44.31달러를 시작으로 45달러(21일선), 46.28달러, 직전 고점인 50달러(약 6만 9,500원) 수준까지 열려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의 며칠 간 HYPE가 주요 지지선을 유지하며 재차 돌파 시도를 이어갈 수 있을지가 주목 포인트이다. 과매도 신호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고래 자금 흐름과 거래소 펀더멘털의 조합이 가격 반등을 이끌어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