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ETF에 8,367억 원 유입, 기관 투자 수요 회복 신호로 작용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하루 동안 약 8,367억 원(6억 200만 달러)의 순자금 유입이 발생하며 기관 투자자들 간의 수요 회복을 나타내는 신호가 포착됐다. 미국 현지 시간 기준으로 7월 3일, 주요 비트코인 ETF에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면서 시장에 강력한 상승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다.
이번 자금 유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피델리티의 FBTC ETF로, 단 하루 동안 약 3,294억 원(2억 3,700만 달러)의 유입을 기록하며 업계에서의 지배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어서 아크인베스트의 ARKB ETF는 약 1,585억 원(1억 1,400만 달러), 비트와이즈의 BITB는 216억 원(1,553만 달러) 수준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한 때 환매 압력에 고생했던 그레이스케일의 GBTC도 81억 원(584만 달러)이 들어오며 안정세에 접어드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러한 자금 유입은 비트코인 가격 상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최근 비트코인은 기술적 저항선으로 작용하던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며 1억 5,290만 원(11만 달러) 선을 향한 기대감을 더욱 불러일으키고 있다. 장기 상승 추세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상대강도지수(RSI)가 57 수준으로 과열 구간에 근접해 있어 단기 차익 실현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날 이더리움(ETH) ETF 역시 활기를 띠며 약 2,071억 원(1억 4,900만 달러)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다만 그레이스케일의 ETHE는 74억 원(535만 달러)의 자금이 빠지는 예외적인 흐름을 보였다.
비트코인 ETF의 누적 순자산은 최근 2주간 3조 2,976억 원(23억 달러) 이상이 유입되며 사상 최대치인 약 190조 원(1,370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비트코인 전체 시가총액의 63.3%를 ETF가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기관 중심의 유동성 공급이 비트코인 시장 구조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1억 5,290만 원(11만 달러)에서 1억 5,985만 원(11만 5,000달러) 사이의 저항 구간을 돌파할 수 있는지가 향후 추가 랠리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 구간을 넘어선다면 다음 목표가인 1억 6,680만 원(12만 달러)까지 상승할 여지가 존재한다. 반면, 단기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1억 3,900만 원에서 1억 4,320만 원(10만~10만 3,000달러) 수준의 되돌림 구간이 열린 만큼 섣부른 매수에 대한 주의도 필요하다.
ETF 자금 흐름과 함께 매크로 환경이 비트코인 가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규제 정책과 금리 산정 등 거시적 이슈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번 대규모 자금 유입이 단기적인 반등을 주도할지, 아니면 새로운 시장 저점으로의 도약의 신호가 될지는 향후 지켜봐야 할 사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