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 베이스 통합으로 대규모 토큰 소각 메커니즘 가동

시바이누($SHIB)가 레이어2 블록체인 '베이스(Base)'와 통합하여 대규모 토큰 소각 메커니즘을 가동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체인 확장이 아니라, 공급 감소를 목표로 한 새로운 '버닝 엔진'의 도입으로 SHIB 생태계 전반의 디플레이션 속도를 높이는 전략을 반영하고 있다.
SHIB 개발팀은 공식 X 계정을 통해 "현재 베이스 네트워크 상에서 새로운 버닝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고 알렸다. 이 시스템은 거래 수수료의 일부 또는 특정 이벤트에 따라 자동으로 SHIB 토큰을 소각하는 방식으로, 가격 안정성과 희소성을 확보하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지난 24시간 동안 6억 SHIB가 크리에이터코인 프로그램을 통해 소각되었고, 이는 약 820만 원 규모에 해당한다.
이러한 공급 제한 조치는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불안정성 속에서 시바이누의 토큰 가치를 방어하는 수단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SHIB는 'Zora' 플랫폼을 통해 '크리에이터 코인'이라는 실험적인 방식을 도입하여 수수료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소각을 유도하고 있다. SHIB 생태계는 이러한 지속적인 소각 메커니즘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유통량 감소를 기대하고 있다.
시장 반응은 긍정적이다. 보도 시점에서 SHIB는 0.00001368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동안 약 2.32% 소폭 하락했지만, 거래량은 239만 달러(약 331억 원)로 전일 대비 63% 증가해 투자자들의 활발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시바이누의 대량 보유를 주장하는 고래 투자자들의 세력도 확장되고 있다. 현재 전체 유통량의 74%가 상위 지갑에 보유되고 있으며, 이는 대규모 가격 반등을 예상하는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공급 축소 메커니즘과 고래 주도의 매수세가 결합될 경우 시바이누가 다시 한 번 상위 20위 암호자산 자리를 견고히 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밈 코인으로 시작한 시바이누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보다 정교한 경제 모델 실험을 진행 중이다. 베이스와의 연계는 이러한 발전을 가속화하며, 밈 코인의 한계를 뛰어넘는 의미 있는 이정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