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네로(XMR), 큐빅의 해시레이트 공격에 대응하는 커뮤니티의 분산화 노력

모네로(XMR)는 최근 큐빅(Qubic)이라는 채굴 풀에 의해 제기된 네트워크 지배 시도와 관련한 경제적 공격에 직면하게 되었다. 큐빅은 아이오타(Iota)의 공동 창립자인 세르게이 이반체글로가 이끄는 프로젝트로, 모네로 생태계의 자율성과 보안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모네로 커뮤니티는 이러한 공격을 해시레이트의 집중화를 시도하는 행위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강력한 반발을 보였다.
채굴풀 통계 사이트인 마이닝풀스탯스(MiningPoolStats)에 따르면, 한때 모네로 채굴풀 순위 1위였던 큐빅은 최근 7위로 하락했다. 이는 큐빅이 해시레이트를 대량으로 확보하고, 네트워크를 장악하려는 시도에 대해 커뮤니티가 즉각적으로 대응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커뮤니티 중심의 분산화 유지 노력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고, 큐빅의 해시 점유율은 급속히 감소했다.
큐빅 측은 자사의 공식 블로그를 통해 CPU 채굴을 유도하여 모네로를 채굴하고, 이를 큐빅 생태계 내 토큰의 바이백 및 소각에 재투입하는 구조를 설명했다. 세르게이 이반체글로는 자신들의 채굴 방식이 시장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큐빅의 경제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외부 네트워크에서의 채굴 활동을 활용하면서 자체 프로젝트에 이익을 환류하는 이중 구조를 만들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반체글로는 최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에서 모네로 네트워크에 대한 지배 시도를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그는 "우리가 네트워크 해시레이트의 상당 부분을 확보한 후 다른 채굴 풀에서 생성된 블록을 거부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큐빅의 중앙 집중적인 접근 방식을 드러냈다. 이 발언은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큐빅의 공격이 네트워크의 분산성과 거버넌스에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이 단순한 해시레이트 경쟁이 아닌,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을 중시하는 네트워크에서는 더욱 극단적인 채굴 정책과 커뮤니티 중심의 감시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큐빅 사태는 모네로의 철학과 구조를 돌아보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고, 향후 커뮤니티의 대응이 이러한 공격을 얼마나 지속 가능하게 저지할 수 있을지에 주목된다.
결국, 모네로 커뮤니티는 큐빅의 공격으로부터 생태계를 방어하기 위한 분산화 노력으로 정당성을 더욱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자율성과 보안을 지켜 나가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