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국내 ETF 운용사에 가상자산 투자 자제 권고

한국 금융감독원이 최근 국내 자산운용사들에게 가상자산 기업에 대한 과도한 투자 노출을 자제하라는 구두 권고를 내렸다. 이는 공식적인 서면 지시가 아니지만, 가상자산 투자에 대한 당국의 경계심이 높은 수준임을 다시 한번 알리는 메시지로 받아들여진다.
한국헤럴드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특정 자산운용사들에게 코인베이스($COIN)와 스트래터지($STRT)와 같은 가상자산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을 줄일 것을 비공식적으로 요청했다. 이러한 권고는 국내 ETF에 대한 가상자산 관련 투자 규율을 재조명하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번 지침의 실제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한국에서 운영되는 패시브 상장지수펀드(ETF)는 지수 제공자의 승인이 없이는 구성 종목을 임의로 제외할 수 없는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제 당국의 요청만으로 즉각적인 투자 조정이 이뤄지기 어렵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한 투자 펀드 매니저는 “우리는 기본적으로 지수를 추종하는 방식이라, 구성 종목이 바뀌지 않으면 마음대로 제외할 수는 없다. 그러면 큰 추적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금감원의 의도를 이해하나 쉽게 실행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금융감독원이 가상자산 관련 종목에 대한 경계를 강화한 이유는 최근 가상자산 시장의 변동성과 규제 불확실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 대선 정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가상자산에 우호적인 정책을 강화하고 있어, 관련 종목들의 변동성이 단기적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한국 금융당국은 국내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따라서, 이번 금융감독원의 구두 권고는 한국 자산운용사들에게 가상자산 투자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는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가상자산 시장의 안정성 확보와 투자자 보호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효과적인 규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