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7억 달러 규모의 고래 이체와 사상 최고 TVL 기록…차기 상승장의 신호일까?

XRP의 시장 관심이 2025년 7월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신규 계정 개설, 주소 활성화의 급증, 탈중앙화 거래소에서의 유동성 유입 등 여러 지표에서 XRP의 실사용이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차기 급등장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상승세가 지속됨에 따라 XRP의 가격이 2018년 고점을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XRP 원장 네트워크의 발전이다. 통계 사이트인 XRPScan에 따르면 7월 18일 하루 동안에만 신규 계정이 1만 건을 넘었다. 이는 2023년 2월 이후 최다 기록이며, 지난해 12월의 3만 계정에는 미치지 않지만 의미 있는 회복세를 나타낸다. 또한, 활성 지갑의 주소 수는 전달 대비 두 배 늘어난 5만 500여 개에 도달하여, 네트워크 활용도가 실제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된 것은 7억 3,800만 달러(약 1조 240억 원) 규모의 대형 XRP 이체 사건이다. 블록체인 데이터 추적 플랫폼인 웨일 얼럿(Whale Alert)에 따르면, 총 2억 1,066만 9,117개의 XRP 토큰이 단번의 거래로 이동했으며, 이 발신자 지갑의 정체가 처음에는 불분명해 다양한 해석이 나왔다. 일부에서는 기관 간의 대규모 정산 가능성을 제시하며, 또 다른 견해로는 가격 상승에 앞선 고래의 움직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또한, XRP 기반의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에 예치된 자산의 규모도 주목할 만하다. 최근 총예치자산(TVL)은 9,200만 달러(약 1,279억 원)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7월 초에 출시된 XRPL EVM 사이드체인 메인넷은 이 현상의 중요한 기점으로 작용했다. 이 사이드체인은 스마트 계약과 기존 이더리움(ETH) 자산의 호환성을 제공함으로써 XRP 유동성이 과거보다 쉽게 디파이 플랫폼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장 점유율 역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XRP의 비중을 나타내는 XRP.D 지표는 현재 5.4%를 넘어섰으며, 이는 2025년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일부 분석가들은 XRP 비중이 앞으로 15%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며, 과거 2017년의 황금기 시절인 30%까지 회복될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은 2,110억 달러(약 293조 9,000억 원) 수준으로, 글로벌 대기업인 셸(Shell)이나 지멘스(Siemens) 등을 넘어서고 있다.
현재 XRP의 가격은 약 3.54달러(약 4,927원)로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기준으로 1% 상승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과거 대규모 상승장의 전조에서는 계정 수, 활성 지갑, 유동성의 급증, 고래의 이동 등이 유사하게 발생했던 만큼, 투자자들은 이러한 지표들을 면밀히 살펴보며 향후 XRP의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