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레버리지로 이더리움과 페페코인에 대규모 투자한 트레이더, 39억 원 규모 포지션 개시

최근 암호화폐 트레이더 제임스 윈(James Wynn)이 이더리움(ETH) 25배 롱 포지션과 페페코인(PEPE) 10배 롱 포지션을 동시에 개시하며 암호화폐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극단적인 레버리지 전략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번 거래도 고위험 고수익을 추구하는 그의 전형적인 행보로 평가된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윈의 이더리움 포지션 규모는 총 3,269 ETH에 달하며, 이는 약 1,685만 달러(한화 약 23억 4,165만 원)에 해당한다. 그의 평균 진입가는 3,726.28달러(대략 518만 원)이며, 25배의 레버리지를 이용해 거래를 진행하고 있다. 동시에 윈은 'kPEPE'라는 이름의 페페코인 선물 계약에서 812.16만 개 토큰을 1,128만 달러(약 15억 6,792만 원)에 매수했다. 해당 계약의 평균 매입가는 0.01358달러(약 18.8원)로 설정됐다.
현재 상황을 보면, 그는 페페 포지션에서 25만 1,617달러(약 3억 4,107만 원)의 미실현 수익을 내고 있지만, 이더리움 거래에서는 6만 2,700달러(약 8,715만 원)의 미실현 손실을 보고 있다. 두 포지션 모두 높은 레버리지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청산 가격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이더리움 포지션의 청산 가격은 3,492.8달러(약 486만 원), 페페 포지션에서는 0.012998달러(약 17.8원)로 설정되어 있다.
윈은 이번 포지션을 시작하기 위해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인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에 53만 6,573 USDC(약 7억 4,598만 원)를 입금한 사실도 확인됐다. 하이퍼리퀴드는 최근 고레버리지 트레이더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신규 플랫폼으로, 높은 유동성과 다양한 선물 계약 상품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제임스 윈의 이번 포지션은 단순한 레버리지 투자 이상으로, 시장 심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규모 거래라는 점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과 페페코인은 최근에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어, 그의 포지션의 성패는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윈의 투자 접근 방식은 암호화폐 트레이딩에서 고위험 고수익 전략의 큰 예로, 이러한 레버리지 투자는 시장의 변동성에 민감한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시장 동향 파악이 필수적이다. 이 같은 형태의 거래는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많은 교훈을 주며,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사례가 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