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 6조 원 규모 비트코인 매각 검토…재정 적자 해소의 딜레마

영국 정부가 심각한 재정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약 50억 달러, 한화로 약 6조 9,500억 원에 달하는 비트코인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매체인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재무장관 레이철 리브스(Rachel Reeves)는 압수한 비트코인을 매각하여 재정 적자를 완화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현재 영국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국가로, 보유 수량은 약 6만 1,000개에 이른다.
이번 매각 검토는 국가 예산의 200억 달러, 즉 약 27조 8,000억 원 규모의 재정 적자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움직임으로 보인다. 리브스 장관은 그간 기한이 늘어난 압수 자산 보관 체계를 개편하고, 효율적으로 암호화폐를 청산할 수 있는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이로 인해 영국 정부의 비트코인 보유는 더욱 중요한 재정적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영국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 대다수는 한 중국계 범죄자의 자택 수색 중 발견된 것으로, 이 범죄자는 대규모 폰지 사기 사건의 자금 세탁 공범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바 있다. 이는 영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비트코인 압수 사례로 기록되었다. 이처럼 정부의 비트코인 보유가 위법행위에 연루된 가운데, 대규모 매각이 실제로 이루어진다면 재정적 손실은 물론 시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작년 독일의 사례가 많은 언급을 받고 있다. 독일 작센주는 약 29억 달러에 달하는 비트코인을 매도했지만,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면서 해당 결정은 시장 참여자들로부터 큰 비난을 받았다.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최근에는 역사적 최고가인 12만 2,838달러를 상회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결정은 상당한 기회를 놓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영국 정부가 현재 비트코인을 매각할 경우 장기적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암호화폐 투자 기업 비트와이즈(Bitwise)의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최근 비트코인이 올해 내에 20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와 같은 전망을 감안할 때, 영국 정부의 성급한 매각 결정이 차후 막대한 기회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2000년대 초반 고든 브라운(Gordon Brown) 재무장관이 금 시세가 바닥일 때 보유 금의 절반을 처분하여 비난받았던 사례와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결론적으로, 영국 정부의 비트코인 매각 검토는 재정 적자 해결을 위한 필요성과 장기적인 기회비용 손실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요소를 안고 있다. 정부의 결정이 향후 경제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조심스러운 접근이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