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고액자산가들, 주식 대신 암호화폐로 관심 확대… 비트코인 투자 급증

인도의 고액자산가들이 주식과 금에서 벗어나 암호화폐로 자산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있다. 최근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비트코인(BTC)을 중심으로 한 상승세 덕분에 가족 단위 자산관리사와 기관투자자들의 활동이 급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인도 투자자들도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으며,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치적 복귀와 관련된 글로벌 시장 낙관론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최근 12개월 동안 90%에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하며, 가격은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를 초과했다. 이는 같은 기간 동안 금, 주식, 채권 등 전통 자산보다 훨씬 높은 성과이다.
시장 조사에 따르면 인도의 자산가들은 주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ETH)과 같은 블루칩 코인에 집중하고 있으며, 솔라나(SOL)와 XRP와 같은 다양한 암호화폐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CoinSwitch의 공동 창립자 아시시 싱할은 "투자자들의 질문이 '왜 암호화폐인가?'에서 '얼마나, 어디에 투자할까?'로 바뀌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는 명확한 심리적 변화를 나타낸다고 강조했다.
Mudrex와 같은 거래소들은 최근 1주일 동안 고액자산가들의 거래량이 30% 증가하여 약 1,000만 달러(약 139억 원)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CoinDCX의 데이터에 따르면 고액자산가(HNI)의 평균 거래량도 7월 한 달 동안 25~30%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상반기에는 CoinDCX 전체 거래의 거의 절반이 약 3,500명의 고액자산가와 기관투자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의 월간 평균 현물 거래 금액 또한 50만 루피(약 870만 원)를 초과하고 있다.
하지만 시장의 활기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여전히 개미 투자자들이다. CoinSwitch는 일일 거래량이 3배 증가했고, CoinDCX에서는 7월 평균 거래액이 1,282만 달러(약 178억 원)로 40% 상승했다. Mudrex에서도 현물 거래는 1주일 사이에 102%, 선물 거래는 200% 증가하는 등 급증세를 보였다. 거래의 50% 이상이 도지코인(DOGE), 페페(PEPE), 시바이누(SHIB) 등 밈코인에서 발생했으며, 나머지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XRP가 차지하고 있다. ZebPay에서는 전체 거래 비중의 60%가 매수 쪽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높은 세율과 불명확한 규제 환경은 여전히 주요한 장애물로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세금과 정책이 보다 명확해지면 개인 투자자의 유입이 더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편, 7월 10일부터 15일 사이 비트코인의 가격이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를 돌파한 이후, 인도 시장에서 단 일주일 만에 1억 5,000만~2억 달러(약 2,085억 원~2,780억 원)의 자금이 새로 유입됐다. 전문가들은 올해 말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최대 18만 5,000달러(약 2억 5,715만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도의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에게 암호화폐는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닌 "필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