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네트워크, 다시 부각된 '스캠' 논란…전문가들, 보안 및 투명성 문제 지적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파이네트워크(Pi Network)에 대한 '사기 논란'이 다시금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초기부터 모바일을 통한 손쉬운 채굴 시스템으로 대중의 관심을 모았지만, 여전히 불투명한 운영 방식과 보안 우려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최근 유명 업계 전문가들이 파이네트워크를 '스캠'으로 지칭하며 논란에 불을 지핀 상황이다.
2019년 스탠퍼드 대학교 출신 연구진에 의해 설립된 파이네트워크는 누구나 스마트폰으로 암호화폐를 채굴할 수 있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널리 퍼졌다. 그러나, 현재까지 공식적인 블록체인 메인넷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며, 제3자 보안 감사를 통과한 기록조차 없는 점은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를 심각하게 손상시키고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더 넓게 수집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파이네트워크는 '초대한 사람 수에 따라 채굴 속도가 증가한다'는 구조를 장려하고 있는데, 이는 다단계 유사 수법이라는 비판을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프로젝트가 기술적인 혁신보다 네트워크 확장에만 집중하면서 사용자들에게 실제적인 이익을 제공할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비판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올해 초, 바이비트(Bybit)의 CEO 벤 저우(Ben Zhou)는 “당신들은 여전히 사기라고 생각한다. 바이비트는 스캠을 상장하지 않는다”고 공개 발언하면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 그의 발언은 코인베이스($COIN), 바이낸스(Binance) 등 주요 거래소들이 파이네트워크를 상장 목록에서 제외하는 데 일조했으며, 업계 전반에 걸쳐 프로젝트의 신뢰성과 유효성에 대한 의문을 더욱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현재 파이네트워크는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 조성과 글로벌 사용자 확대를 내세우며 플랫폼의 기능을 개선하려고 하고 있지만, 이러한 행보가 오히려 사용자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편리한 방법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파이네트워크가 혁신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의 투명성, 보안 검증, 그리고 기술적 정당성 확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파이네트워크는 사기라는 의혹을 벗기기 위해 사용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주력해야 할 전망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향후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과 커뮤니티의 지지를 잃을 위험이 크다는 점을 불가피하게 인식해야 할 시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