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디턴 “코인베이스·XRP·크라켄이 전통 은행을 대체할 차세대 금융 플랫폼이 될 것”

전통 은행에 대한 신뢰가 급속히 무너지고 있는 가운데, 주요 암호화폐 플랫폼들이 차세대 금융 허브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XRP의 지지자로 잘 알려진 변호사 존 디턴(John Deaton)은 리플(XRP), 코인베이스($COIN), 크라켄, 로빈후드($HOOD) 등의 주요 기업들이 기존 은행을 대체하는 *완전한 금융 서비스 제공자*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디턴은 이들 플랫폼이 이미 암호자산을 담보로 한 다양한 대출 상품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 나아가 모기지, 자동차 대출, 개인 간 대출까지 포함하는 *차세대 금융 허브*로 기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그는 “앞으로의 은행은 코인베이스, 크라켄, 리플, 로빈후드가 될 것”이라고 명확히 언급하며, 전통 은행이 보유하던 핵심 기능들이 분산형 금융(DeFi) 시스템으로 점차 이동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는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의 대두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다. 블록체인 관련 미디어 폴 배런(Paul Barron)에 따르면, Z세대와 MZ세대 중 89%는 “은행을 떠나 암호화폐와 DeFi로의 이동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들은 높은 수익률과 토큰화된 주식, 웹3 기반의 자산 관리 도구 등의 이용 가능성을 이유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 금융기관인 웰스파고와 뱅크오브아메리카가 기술 혁신에 뒤처지고 있다는 중요한 신호로 해석된다.
디턴은 또한 리플의 향후 방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리플이 다중 자산 지원 거래소인 업홀드를 인수할 가능성을 제기하며, 만약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면 업홀드는 리플의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 확장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리플은 DeFi 분야에서 자산의 다양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가능하다.
디턴은 코인베이스와 로빈후드가 단순한 거래 애플리케이션에서 금융 회사로 변모하고 있다고 보았다. 캐시 우드(Cathie Wood)는 최근 “비트코인을 담보로 한 모기지 서비스가 곧 현실화될 것”이라며 코인베이스를 대표적인 성장주로 부각시켰다. 디턴 역시 이와 같은 의견에 동의하며, COIN 주식이 두 달 만에 약 100% 상승한 사실을 강조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코인베이스가 전통 금융의 중심으로 진입하고 있다는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현재 돈과 금융의 패러다임 자체가 변화하고 있는 시점”이라며 “이 변화에 먼저 대응한 이들이 가장 큰 혜택을 볼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전통 은행들이 기술 혁신 없이 단순히 버티기만 해서는 생존하기 어렵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시장은 이미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는 사실을 덧붙였다.
이러한 전망은 결국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금융의 변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기존의 은행 시스템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시장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래의 금융 환경은 더욱 다채롭고 혁신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