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무부, 랜섬웨어 협상가의 비트코인 부정 거래 수사 착수

미국 법무부는 전직 랜섬웨어 협상가에 대한 공식 수사를 시작했다. 이 협상가는 해커들과의 협상 과정에서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비트코인 등의 암호화폐 수익을 나눠 가진 혐의를 받고 있다. 이러한 의혹은 시카고에 본사를 두고 있는 디지털민트(DigitalMint)라는 회사에 대한 신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지털민트는 랜섬웨어 피해자를 대신해 해커들과의 협상 및 지급을 대행하는 전문 기업으로, 이번 사건의 중심 인물인 전직 직원은 회사 재직 중 무단 행위를 저질렀다는 혐의로 즉시 해고됐다. 마크 그렌스(Marc Grens) 디지털민트 CEO는 코인텔레그래프에 보낸 성명서를 통해 "해당 직원의 행위는 밝혀지자마자 엄정한 조치를 취했으며, 디지털민트는 현재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의 핵심 쟁점은 전직 직원이 자신의 직위를 악용하여 해커들과 비밀 거래를 시도한 점이다. 이 과정에서 암호화폐를 받아 개인적인 이익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의 보도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번 수사는 해당 개인에 한정되어 있으며, 디지털민트 그 자체는 조사 대상이 아니다.
디지털민트는 사건 발생 직후 고객 보호를 위해 신속하게 대응하였고, 관련 사실을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랜섬웨어 대응 산업에 대한 신뢰도에 침해가 우려되고 있다. 신뢰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디지털민트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내부 통제 시스템을 한층 더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랜섬웨어 대응 관행이 제도권 내에서도 점차 정교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내부 부정행위가 드러난 본 사건은 해당 산업의 신뢰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디지털민트와 같은 기업들은 자사의 이미지와 고객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 더욱 철저한 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