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암호화폐를 외환보유고에 추가하는 방안 논의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암호화폐를 국가 외환보유고의 운용 자산으로 편입하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 총재인 티무르 술레이메노프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이러한 계획을 언급하며, 고수익률을 추구하는 ‘공세적 전략’의 일환으로 암호화폐 관련 자산을 자산 배분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카자흐스탄은 노르웨이, 미국, 중동 국가들의 암호화폐 투자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이 이 계획에 투입할 자금은 외환보유액과 금 보유분, 나아가 국부펀드 자산의 일부를 포함할 예정이다. 현지 매체 쿠르시프(Kursiv)에 의하면, 국가 국부펀드와 외환·금 보유액의 일부가 암호화폐 관련 자산에 투자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움직임은 카자흐스탄이 중앙아시아에서 암호화폐 투자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술레이메노프 총재는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비트코인 간접 투자와 미국 정부의 디지털 자산 보유, 중동 국가들의 암호화폐 ETF 및 기업 투자 전략을 모델로 삼고 있으며, 이는 단지 특정 국가에 국한된 접근이 아니라 국제적인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의 전통 자산 중심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변화하는 글로벌 금융 환경에 이미 적응하려는 카자흐스탄의 의지를 보여준다.
더불어,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법 집행기관이 압수한 디지털 자산을 활용해 국가 차원의 암호화폐 보유고를 조성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이는 향후 카자흐스탄이 암호자산을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방향성을 나타내며, 국가의 재정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이 될 것이다.
전체적으로 카자흐스탄의 이러한 노력은 암호화폐를 새로운 자산군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해 경제 다변화와 혁신을 도모하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카자흐스탄 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전역의 금융 환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