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트럼프와 바이낸스 겨냥한 의혹의 중심에 서다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기업인 코인베이스가 최근 블룸버그의 단독 보도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낸스를 동시에 겨냥한 의혹에 휘말리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문제는 유명 암호화폐 해설가인 매트 월리스가 코인베이스가 블룸버그에 내부 정보를 제공했으며, 이를 통해 바이낸스의 미국 시장 재진입을 저지하려 했다는 주장을 SNS에 올리면서 시작되었다. 이 게시글은 바이낸스 전 CEO 창펑 자오(CZ)에 의해 리트윗되며 더욱 주목을 받았다.
월리스는 "코인베이스가 바이낸스의 미국 시장 재진입을 두려워해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프로젝트와 바이낸스를 파괴하려 했다"며 이를 '반미적 행동'으로 지적했다. 그의 주장은 창펑 자오가 트럼프에게 사면을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제로, 블룸버그 보도가 이를 특종으로 다룬 것이라고 해석된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발행사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의 스테이블코인 USD1의 배경에 바이낸스가 연관되어 있으며, USD1의 상당량이 현재 바이낸스 지갑에 보관되고 있다는 주장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해 코인베이스는 즉각 반발의 목소리를 높였다. 폴 그레월 코인베이스 법무총괄은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해당 의혹을 "전적으로 허위 정보"라고 단호히 일축하며, 블룸버그 보도에 어떤 발언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경쟁사를 공격하지 않으며, 암호화폐 생태계 전체의 성장을 지지한다"며 음모론에 선을 그었다.
한편, 암호화폐 자문역 안디 리안은 블룸버그 보도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익명의 소스에 의존한 보도가 정치적 사건을 악용했다고 평가하며, 바이낸스와 트럼프 대통령 간의 뚜렷한 정책 연계 증거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리안은 바이낸스의 USD1 관련 활동이 업계의 일반 관행에 부합한다고 덧붙였다.
이 사태는 트럼프 전 대통령과 바이낸스, 그리고 주요 거래소들이 얽힌 정치적 및 규제적 전선이 복잡하게 일어나는 상황에서 암호화폐 시장의 민감한 이해관계를 드러내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해당사자들은 정보전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만약 확실한 증거나 법적 문제가 제기될 경우, 더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사건은 단순한 경쟁사 간의 갈등을 넘어서 트럼프 대통령, 바이낸스, 그리고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간의 복잡한 정치적 힘의 균형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게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