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활용한 불법 송금, 러시아국적 유리 구그닌 기소

미국 법무부가 러시아 국적자 유리 구그닌(Iurii Gugnin)에 대해 총 22건의 형사 혐의를 제기했다. 구그닌은 뉴욕에 거주하며 '조지 구그닌(George Goognin)'과 '유리 마슈코프(Iurii Mashukov)'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암호화폐 관련 기업을 통해 약 7,370억 원(약 5억 3,000만 달러)에 달하는 불법 자금을 세탁한 혐의를 받고 있다.
법무부는 구그닌이 '에비타 인베스트먼트(Evita Investments)'와 '에비타 페이(Evita Pay)'를 설립하여 미국의 은행과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테더(USDT)를 기반으로 한 복잡한 금융 네트워크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 네트워크는 미국의 제재를 받은 러시아 기관들이 비밀리에 자금을 이전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민감한 기술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구그닌은 서류 위조와 은행 기망, 규제 준수 문서의 조작 등을 통해 거래의 실제 내용을 은폐하며 불법 활동을 이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그가 자금세탁방지(AML) 규정을 준수하지 않았고, 의심 거래 보고서(SAR)를 제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의 '은행비밀법(Bank Secrecy Act)'을 명백히 위반한 행위로, 사실상 그의 기업들은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자금 경로이자 제재 회피의 통로로 기능해 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법무부는 구그닌이 범죄 수사 회피 방법이나 수사 지표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웹사이트에도 접근한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그가 자신의 범죄 행위를 조직적으로 은폐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한 증거로 평가된다. 현재 구그닌은 전신 사기(wire fraud), 은행 사기(bank fraud), 자금 세탁(money laundering) 등으로 총 22건의 혐의를 받고 있으며, 각 혐의당 최대 30년의 형이 부과될 수 있다. 만약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수십 년에 이르는 처벌도 예상된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를 통한 제재 회피 수단이 점점 고도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 정부는 이러한 기술 기반의 금융 범죄에 대해 보다 엄격한 규제를 시행할 가능성이 높다. 디지털 자산이 국제 범죄 네트워크에서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하는 만큼, 안보와 규제 간의 균형을 맞추는 글로벌 차원의 논의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