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마스크 활용자 대상 해킹 사건 급증…2025년 피해 예상액 3조 원 돌파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메타마스크 활용자 대상 해킹 사건 급증…2025년 피해 예상액 3조 원 돌파

코인개미 0 10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2025년 들어 메타마스크(MetaMask) 지갑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하루 평균 최대 500명의 사용자들이 자산 손실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블록체인 분석 기업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가상자산 관련 서비스에서 발생한 피해액은 약 21억 7,000만 달러, 즉 3조 148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의 주요 원인은 북한 해커 조직이 주도한 바이비트(Bybit) 해킹 사건으로, 이로 인해 약 15억 달러(약 2조 855억 원)의 자산이 무단으로 유출됐다. 이 사건은 단일 해킹 사건으로 역사상 최대 규모의 피해를 기록하며, 체이널리시스는 주요 거래소뿐 아니라 개별 메타마스크 사용자에 대한 조직적인 공격이 대규모로 확산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메타마스크 지갑은 이러한 공격의 가장 심각한 타겟 중 하나이며, 2024년 말에서 2025년 초 사이 자금 탈취 사건이 급증하였다. 특히 6월 6일자에서는 하루 동안 약 226개의 지갑이 해킹당해, 이러한 사태 속에서 실시간 이상 거래 감지 시스템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보고서에 의하면 공격자들은 메타마스크 소프트웨어의 구조적 취약점을 끈질기게 탐색하고 있으며, 악성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과 위장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등 외부 인프라의 보안 결함 또한 피해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가상자산 이용자들의 급증은 공격자들이 노리는 주요 타겟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체이널리시스는 “2025년 들어 메타마스크 사용자 통계를 기준으로 비정상적인 자금 이동 사건이 급증하고 있다”며, 이는 사람들이 널리 사용하는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주요 표적이 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가상자산의 대중화가 계속될 경우, 이러한 공격이 더욱 빈번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또한 온라인 위협 외에도 물리적인 범죄인 ‘렌치 어택(wrench attacks)’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범죄자들이 피해자의 지갑 로그인 정보를 빼앗기 위해 폭행이나 협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신고되지 않은 사례가 많아 실제 피해 규모는 통계보다 더 클 수 있다.

특히 비트코인(BTC) 가격 상승이나 상승 기대감이 고조될 때, 이러한 범죄의 발생률이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단순 강도에서 납치, 폭행, 심지어 살인으로 이어지는 중범죄도 발생할 확률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기술과 보안 인프라가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직접적인 사람을 겨냥한 공격에는 한계가 있다.

전문가들은 사용자 개인의 경각심과 함께 강력한 규제 및 보안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가상자산 환경에서의 안전을 위한 체계적 접근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