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암호화폐 범죄, 해킹 피해액 20억 달러 돌파…역대 최악 예고

올해 2025년이 암호화폐 범죄의 역사에서 가장 어두운 해가 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만 20억 달러(약 2조 7,800억 원) 이상의 암호화폐가 여러 서비스에서 해킹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수치는 단 142일 만에 이뤄진 것으로, 지금까지의 암호화폐 범죄 역사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기록된 피해 규모다.
가장 큰 해킹 사건은 북한과 연계된 해커들이 관여한 바이비트(ByBit) 거래소의 공격으로, 이 사건에서만 15억 달러(약 2조 785억 원)가 탈취되었다. 이처럼 일부 특정 거래소의 해킹으로 전체 피해액의 상당 부분이 차지되고 있어, 중앙화된 플랫폼이 여전히 큰 보안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흥미로운 변화로는 탈취된 암호화폐의 출처가 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전체 피해액의 23.35%가 개인 지갑 해킹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해커들이 중앙화 거래소 대신 보안 취약성이 높은 개인 사용자들을 타겟으로 삼고 있다는 방증이다. 또한, 탈취된 자산 가운데 85억 달러(약 11조 8,150억 원) 상당이 현재까지도 온체인 상태로 남아 있어, 자금 세탁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도 깊은 우려를 낳고 있다.
엇갈리는 공격 대상 또한 눈길을 끈다. 비트코인(BTC)이 여전히 범죄자들 사이에서 가장 선호되는 암호화폐이지만, 솔라나(SOL)와 같은 비이더리움 기반의 비전통적인 체인 또한 범죄 네트워크에 기승을 부리고 있다. 더불어, 비트코인 보유자보다 알트코인 보유자가 해킹의 주된 대상이 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북미 지역이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으며, 이는 높아진 암호화폐 채택률 및 사용자 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욱이, 해킹 이후의 자금 세탁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해커들은 거래 수수료가 급락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평균 14.5배에 달하는 프리미엄 수수료를 지불하며 더 빠른 자금 세탁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난해 대비 세탁 프리미엄이 1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이널리시스의 이 보고서는 암호화폐 범죄의 발전 양상과 그로 인한 치명적인 취약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다. 단순히 거래소의 보안만을 강화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사용자 지갑의 보안 및 실시간 추적, 자금 세탁 방지 체계에 대한 종합적이고 전면적인 개선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암호화폐 생태계가 진정으로 성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플랫폼, 규제 당국이 함께 협력하여 포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보안 전략을 마련해야 할 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