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의 총예치액 1442억 달러 돌파…디파이 재도약의 신호탄

디파이 생태계의 총예치액(TVL)이 1442억9000만 달러에 이르며 계속해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18일 오전 10시 35분 기준으로 디파이라마의 데이터에 따르면, 디파이 생태계의 TVL은 전일 대비 4.51% 상승한 수치를 기록하며 약 200조6496억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주 TVL이 1337억 달러에서 7.93% 증가한 결과로, 연초인 1172억2000만 달러와 비교할 때 약 23.07%의 증가폭을 보인다. 이는 디파이 시장의 회복세가 빨라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체인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이더리움이 58.15%로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뒤를 이어 솔라나(7.84%), 비트코인(4.92%), BSC(4.76%), 트론(4.00%), 베이스(2.87%), 아비트럼(2.23%), 수이(1.61%), 하이퍼리퀴드 L1(1.35%), 아발란체(1.21%) 순으로 나타났다. 이더리움은 주간 기준으로 20.41% 급등하며 TVL이 844억 달러를 넘었다. 특히 수이는 23.29%로, 주요 체인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베이스(13.79%)와 아비트럼(16.43%) 등 레이어 2 체인도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다. 솔라나(12.99%)와 트론(12.52%) 또한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하며 비트코인은 10.68% 상승하였는데, 이는 디파이 생태계의 확장을 더욱 확고히 하고 있다.
디파이 부문별로 살펴보면, 유동성 스테이킹 부문이 662억1400만 달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대출 부문이 653억9400만 달러, 브리지 부문이 546억2800만 달러로 잇고 있다. 추가로 리스테이킹은 250억4500만 달러,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224억2400만 달러, 리퀴드 리스테이킹은 130억9000만 달러, 실물자산 토큰화(RWA)는 126억3000만 달러에 이른다. 이 같은 수치는 디파이 시장의 유입세가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유동성 스테이킹(+17.50%), 리퀴드 리스테이킹(+13.29%), 리스테이킹(+13.04%) 등 많은 주요 부문에서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RWA 부문은 –1.52%로 유일하게 하락세를 보였다.
디파이 프로토콜 순위를 보면 리도(유동성 스테이킹)가 317억2000만 달러로 최대 프로토콜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간 기준 18.96% 상승했다. 이어 아베(대출)가 314억2800만 달러로 2위를 기록하고, 주간 기준 7.38% 증가했다. 3위는 아이겐레이어(리스테이킹)로, TVL은 167억1700만 달러이며 주간 13.89% 상승했다. 이러한 데이터는 디파이 생태계의 재도약 가능성 및 유입세의 강한 흐름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