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최고가 경신 속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 급증… 2분기 거래액 27조 달러 돌파

비트코인의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전 세계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디파이 연구업체 CCData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동안 전체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26.9조 달러(약 3경 7,000조 원)에 달하며, 이는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이러한 거래 증가 추세는 기관투자자와 개인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 6월 30일 기준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는 343억 달러에 육박하며, 이는 전 분기 대비 27.5% 증가한 수치다. 특히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비트코인 미결제약정 규모는 처음으로 10%를 돌파하면서 전통 금융권의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선물시장뿐만 아니라 옵션시장에서도 비트코인 관련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다. 2분기 말 기준 비트코인 옵션 미결제약정은 184억 달러로, 전 분기 대비 27.7% 증가하였으며, 특히 기관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콜옵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대한 긍정적인 시장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이더리움 옵션 시장도 67억 달러로 17.6% 증가하며 활기를 띠고 있으나, 전체 파생상품 시장에서 이더리움의 비중은 여전히 10% 수준에 머물러 비트코인 중심의 시장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
거래소 점유율을 살펴보면, 바이낸스가 여전히 시장의 47.6%를 차지하며 1위 위치를 계속하고 있다. 반면, 미국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코인베이스와 CME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코인베이스는 2분기 옵션 거래량이 전 분기 대비 61.7% 성장하였으며, CME는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이 37.5% 증가, 전통 금융권의 수요 확대를 증명하였다.
CCData는 “1분기 현물 ETF 승인이 기관 자금의 유입을 촉진하고 있으며, 이는 점차 파생상품 시장으로 확산되고 있다. 파생상품은 자금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에 기관 투자자들은 현물 외에도 레버리지 전략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처럼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가격 변동성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매크로 흐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 ETF 자금 유입, 그리고 2025년 반감기와 같은 주요 이벤트들이 맞물려 파생상품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