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이(SUI)의 폭등과 FTX의 치명적인 실수… '8조 원 날린 거래'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기록한 수이(SUI)가 2024년에만 무려 427% 상승하며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의 수익률을 초과하는 성장을 보여주면서,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이 성공 이면에는 FTX의 아픈 기억이 배어 있다. FTX는 파산 직전 보유하고 있던 수이 토큰을 단 9600만 달러, 즉 약 1,334억 원에 매각하였고, 현재 그 지분 가치는 수십 배가 되었다.
FTX가 2023년에 체결한 계약에 따르면, 이 거래소는 당시 수이 제작사인 미스텐랩스에서 총 16억 개의 수이 토큰을 확보할 권리를 행사했다. 이 중 8억 8800만 개는 오직 100만 달러(약 14억 원)에 확보되었고, 나머지 토큰은 1억 100만 달러(약 1,388억 원)를 추가 투자하여 확보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엄청난 지분은 수이 메인넷 출시 불과 두 달 전인 2023년 3월, 단 9600만 달러에 다시 미스텐랩스에 매각되었다.
현재 수이의 가격은 약 4.09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FTX가 매각한 그 지분의 가치는 약 64억 6,400만 달러, 즉 약 8조 9,376억 원에 이른다. 단순 계산에 따르면, FTX는 약 8조 원 규모의 기회를 잃은 셈이다. 당시 FTX는 파산신청을 앞두고 고객 자산 환급을 위한 유동성을 시급히 확보해야 했고, 수이 매각은 단기 자금 마련 수단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지금 돌이켜보면, 이는 회복 가능성을 크게 저해한 결정이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결정이 내려진 배경에는 알라메다 리서치 스캔들, 신뢰 붕괴, 그리고 연쇄적인 인출 사태 등으로 인한 FTX의 심각한 자금난이 자리잡고 있다. 만약 FTX가 수이 메인넷 론칭 이후까지 토큰을 보유했더라면, 상승하는 토큰 가치는 채권자 상환 여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수이의 급등에는 기술적 혁신과 디파이(DeFi) 채택 증가가 큰 작용을 했다. 독자적인 객체 기반 아키텍처로 확장성을 확보한 수이는 거래 처리 성능을 한층 향상시켰고, 거래량 및 총예치자산(TVL)도 급증했다. 이러한 기술적 토대는 투자자 신뢰를 끌어들이며, 수이의 지속적인 성장 기반이 되고 있다.
또한, 미스텐랩스는 FTX로부터 수이를 되사들이는 전략적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은 초기 토큰 유통 구조를 안정화하는 데 기여했고, 프로젝트에 대한 통제권을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업계에서는 이 사례를 통해 개발사가 조기 유통을 통제하는 전략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결국 이번 FTX와 수이의 사례는 단순한 거래 실수 이상의 교훈을 제공한다. 암호화폐 시장의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상황에 맞는 판단과 장기적인 비전을 갖춘 의사결정이 어떻게 프로젝트의 가치 및 시장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