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이더리움 중심의 디지털 자산 수익 모델 가속화…비트코인과의 차별화 시작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기업들, 이더리움 중심의 디지털 자산 수익 모델 가속화…비트코인과의 차별화 시작

코인개미 0 4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최근 기업들이 비트코인(BTC)을 '디지털 금'으로 인식하고 재무 전략에 통합하는 중에서, 이더리움(ETH) 기반의 새로운 자산 운용 모델을 채택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갤럭시 디지털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여러 상장사들이 ETH를 활용한 자산 운용 사례를 분석했으며, 이들은 이제 단순히 ETH를 보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스테이킹 및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세일러(Michael Saylor)가 이끄는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비트코인 보유 전략은 50개 이상의 기업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더리움에 대한 초기 재무 전략을 수립한 기업들은 차별화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 기업들은 단지 보유에 그치지 않고, 이더리움을 이자 수익을 생성하는 자산으로 활용하고 있는 점에서 큰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자본금을 활용해 ETH를 직접 스테이킹하거나 디파이 생태계에 참여하며 운용 수익을 올리고 있다. 특히 샤프링크(SharpLink), 비트마인(BitMine), 비트디지털(Bit Digital), 게임스퀘어(GameSquare) 등은 이러한 운용을 차입금이 아닌 자본금 증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샤프링크는 7월 7일부터 13일까지 약 7만 4,656 ETH를 평균 2,852달러에 매입해 총 2억 1,300만 달러(약 2,963억 원)를 투자했다. 이를 통해 샤프링크는 기업 중 가장 많은 ETH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총 보유량은 28만 706 ETH에 달한다.

비트마인도 6월 30일, 주당 4.50달러에 5,560만 주를 유상증자하여 총 2억 5,000만 달러(약 3,475억 원)를 조달한 후, 이 자금으로 8만 1,380 ETH를 추가 매입하여 총 보유량은 16만 3,000 ETH로 늘어났다. 또한 비트디지털은 보유하던 비트코인 280개를 매각해 1억 7,200만 달러(약 2,391억 원)를 확보하고 이를 ETH 재무 전략에 재투자하는 모습을 보였다.

게임스퀘어는 7월 초에 800만 달러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ETH 재무 전략을 개시하며, 디지털 자산 운영사와 협력하여 연 8~14%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신규 웰스를 이용해 연 3.2%의 평균 수익률로 스테이킹되고 있는 2만 1,568 ETH를 포함한 총 2만 4,434 ETH를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기업들이 ETH를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이더리움 생태계에 참여하는 모습은 최근의 ETH 가격 변동성, 스마트 계약 리스크 및 주식 희석 우려와 같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갤럭시 디지털은 이러한 ETH 기반 자본 운용 모델이 앞으로 더욱 활성화되고 효율적인 기업 재무 전략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