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완전한 탈중앙화 선언…운영 주체 'DAO'로 전환

시바이누(SHIB)의 핵심 개발자인 칼 다이리야(Kaal Dhairya)가 최근 커뮤니티 내에서 논란이 된 완전한 탈중앙화에 대한 입장을 직접 밝혔다. 그는 SHIB의 운영 권한을 특정 개인에게 맡기기보다는 커뮤니티 중심의 조직인 DAO(탈중앙화 자율조직)로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이 발언은 한 커뮤니티 사용자가 공식 미디엄 계정과 X 계정(Shibtoken)을 다이리야에게 넘기자는 제안에 이어졌고, 이에 대한 반발로 중앙화 우려가 제기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다이리야는 해당 제안에 대해 분명히 "난 원하지 않는다"라고 언급하며 개인에게 집중되는 통제를 거부했다. 그는 오히려 SHIB DAO와 시바이누 재단에 자산과 권한을 넘기는 것이 공정하고 투명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DAO는 구성원 간의 투표를 통해 운영되며, 전통적인 리더십 없이도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시바이누 생태계 내에는 이미 '도기 DAO(Doggy DAO)'라는 자체 거버넌스 체계가 마련되어 있어, 이를 통해 커뮤니티가 자발적으로 프로젝트 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이리야의 이러한 발언은 SHIB 생태계를 더욱 활성화하고, 커뮤니티 주도의 운영 모델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시바이누의 기술 인프라 발전도 눈에 띈다. 최근 시바누의 레이어3 확장 시스템인 'Shib Alpha Layer'의 블록 익스플로러가 베타 버전으로 공개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시바리움 생태계 내 모든 거래와 블록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받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사용자에게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시바이누 프로젝트가 운영 구조의 탈중앙화와 기술적 진보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시바이누 프로젝트는 기술적 혁신뿐만 아니라 민주적인 운영 구조를 통해 커뮤니티의 자율성과 책임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는 향후 다른 밈코인이나 블록체인 생태계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누가 운영하느냐가 아닌,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고 있는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