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리시, 뉴욕증시 IPO 추진…트럼프 서명한 스테이블코인법으로 기대감 상승

카이만 제도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Bullish)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등록 서류를 제출하며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IPO는 'BLSH'라는 종목코드로 진행될 예정이다. 불리시는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기업 블록원(Block.one)의 자회사인 불리시 글로벌 소속으로, 지난 금요일 SEC에 제출한 F-1 등록 서류를 통해 공식적인 IPO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상장 일정, 공모가 범위 및 공모 주식 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와 함께 IPO 주관사들은 30일 동안 추가 주식 매입 옵션을 부여받은 상황이다.
불리시는 2024 회계연도에 약 8천만 달러(약 1,112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를 달성했으나, 올해 2025년 1분기에는 상당한 실적 악화를 겪었다. 순손실 규모는 약 3억 4,900만 달러(약 4,841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억 480만 달러(약 1,458억 원) 순이익과는 극명하게 대조되는 수치다. 그럼에도 불리시는 여전히 주목할 만한 재무 안정성의 기초를 갖추고 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유동 자산은 19억 달러(약 2조 6,410억 원)에 달하며, 이에는 현금, 비트코인(BTC), 스테이블코인 및 기타 디지털 자산이 포함된다.
특히 불리시의 IPO 추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법안이 최근 통과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서명한 GENIUS법(Groundbreaking Emerging Net Infrastructure for Ubiquitous Stability Act)은 미국 역사상 첫 번째 스테이블코인 법안으로, 공식적으로 발효됐다. 이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가 더욱 명확해지고, 손쉽게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CoinDesk를 포함한 여러 주요 외신들은 이번 입법이 미국 디지털 금융 규제의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불리시의 IPO 추진과 이와 관련된 법제도의 변화들은 비트코인이 7월 중 일시적인 조정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 번 신고가를 기록할 가능성을 열어주는 배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제도권 진입 흐름이 가속화되면서 투자자들의 신뢰 역시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흐름은 불리시의 상장 이후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