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 역사상 처음으로 4조 달러 돌파

암호화폐 시장이 사상 처음으로 4조 달러(약 5,560조 원)를 돌파하며 중대한 이정표를 세웠다. 이는 암호화폐 산업이 시작된 지 15년이 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룬 성과로, 전통 금융 자산을 압도하는 성장 속도와 시장 채택률을 증명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최고치는 미국 자산운용사 반에크의 매튜 시겔 디지털 자산 리서치 책임자가 처음으로 언급하며 주목을 받았다. 특히 기준 시가총액 성장의 배경에는 최근까지 암호화폐 시장에서 이어진 약세장 속에서도 이루어진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전문가들은 이를 암호화폐가 금융 시스템에서 대체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는 분명한 사인으로 해석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코인마켓캡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3년에는 약 3,500억 달러(약 486조 5,000억 원)에 불과했던 암호화폐 시가총액이 2025년에는 무려 1,052% 상승하여 4조 달러에 도달했다. 특히 최근 6개월간, 시장은 2조 달러에서 4조 달러로 급등했으며, 이는 정치적 변화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재선에 성공한 미국 대통령의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시장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가 크게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에서는 현재 행정부의 암호화폐에 대한 우호적인 정책 방향이 중요하게 작용했음을 지적한다. 특히, 게리 갠슬러가 이끄는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존 규제 기조와는 달리 보다 유연한 접근이 주요 호재로 인식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에 관한 '지니어스법'과 같은 입법안들도 시장의 긍정적인 전망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한편, 금과 같은 안전자산과의 성과 차이도 주목해야 한다. 같은 기간 금은 약 143% 상승에 그쳐 연평균 복리 수익률(CAGR) 7.8%를 기록했다. 반면, 암호화폐 전체 시장은 연평균 수익률 28.5%에 도달했다. 이는 암호화폐가 단순한 투기 자산이 아닌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지닌 '디지털 금'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그러나 암호화폐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여전히 존재한다. 대표적인 금 옹호론자인 피터 쉬프는 암호화폐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그의 예측은 실제로 비트코인(BTC) 및 주요 암호화폐의 시가총액 증가 추세에 의해 반박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단기 흐름에 흔들리지 말고 정책 변화와 글로벌 금융 환경 내에서 디지털 자산의 위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암호화폐 시장이 4조 달러 벽을 넘은 지금, 다음 전환점은 제도권으로의 진입을 위한 글로벌 규제 확립과 기관 투자자 중심의 자금 유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