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셀프 보관 대폭 감소…현물 ETF로 투자 방향 전환

비트코인(BTC) 현물 ETF가 투자자들의 자산 보관 방식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비트코인 현물 ETF가 정식 승인을 받은 이후, 사용자들이 셀프 보관하는 비트코인의 비율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의 본질과 사토시 나카모토의 철학에 대한 심각한 물음이 제기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특히, 신규 비트코인 주소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다. 15년 이상 지속적으로 성장해온 비트코인 주소 수는 최근 몇 달 간 정체기에 접어들었고, 활성 주소 수는 2024년 1월 약 100만 개에서 6월 말 기준 65만 개로 급감해 201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변화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활동 낮아짐을 시사하고, 이는 향후 투자자들의 행동 양식이 변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크립토 애널리스트인 윌리 우(Willy Woo)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현물 ETF 도입으로 인한 사용자들의 직접 보관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현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과거에는 대다수 투자자들이 개인 지갑을 사용해 자산을 보관했지만, 이제는 ETF와 같은 기관 보관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전환은 비트코인의 탈중앙화 철학과 분산된 사용자 생태계의 개념보다, 전통 금융과의 접점에서 보안성과 편의성을 우선시하는 투자자 집단의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친 암호화폐 기조와 함께 기관들의 시장 진입이 가속화되면서, 장기적으로는 사용자의 '직접 소유'에서 '위탁 보관'으로의 전환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가 본래 의도했던 분산된 자율성과 자산 소유의 개념을 압박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일깨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경우 비트코인이 탈중앙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사용자들이 기관을 통한 안전한 자산 관리 옵션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는 결국 비트코인 본연의 가치와 철학에 대한 중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