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전통 금융 시스템의 '위험 자산'으로 재편되는 중

비트코인(BTC)이 최근 들어 전통 금융의 경계 내로 깊이 파고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본질이 변하고 있는 모습이다. 과거에는 탈중앙화 및 자산 독립성을 기반으로 한 화폐로 기능했으나, 현재 비트코인은 거시경제 및 금융 시장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매크로 자산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특히 기관 자금의 유입이 비트코인에 신뢰와 유동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금융 시스템의 압력에 노출된 위험 자산으로의 성격 전환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장기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반면, 단기 트레이더들은 이 자산의 예측 불가능한 수익 구조에 불만을 표하고 있다. 기관 투자자의 진입이 증가함에 따라 비트코인은 이제 미국의 경제 지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달러 강세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는 과거의 독자적인 가격 움직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어가고 있다.
특히 2018년 이후 비트코인의 구조적 변화는 여러 지표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S&P500 ETF(SPY) 및 나스닥100 ETF(QQQ)와는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반면, 미국 달러 인덱스(DXY)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비트코인은 기술 중심의 성장 자산으로 통합되고 있으며, 강세의 달러 앞에서는 가격이 하락하고, 유동성 풍부한 상황에서는 상승하는 명확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하이일드 스프레드(HY OAS)와 비트코인 간의 관계가 주목받고 있다. HY OAS는 위험도가 높은 회사채에 투자 시 요구되는 추가 수익률을 나타내며, 이 스프레드의 확대는 신용 시장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된다. 최근 비트코인은 이 지표와 더불어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신용 시장의 긴장이 커질 때 비트코인의 하락폭이 더 커진다는 경향이 엿보이고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제도권 자산으로 발전하면서 얻게 되는 이득만 있는 것은 아니다. 구조적 변화 속에서 체계적인 리스크 또한 피할 수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즉, 시장 심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고베타(High Beta) 자산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가격 변동에 그치지 않으며, 비트코인의 ‘자기 보관(Self-custody)’ 원칙도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구조적 변화가 향후 비트코인 생태계 내부에서 '제도화된 클린 비트코인'과 '자주권 중심의 야생 비트코인'으로 분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클린 비트코인은 규제에 순응하며 기관 투자에 최적화된 자산으로 나아가는 반면, 야생 비트코인은 검열 저항성과 자기 통제를 지키려 할 것이다. 이러한 이원화가 비트코인의 본질 및 중립성을 약화시킬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성숙한 비트코인이 월스트리트에서도 본래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향후 업계의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비트코인이 전통 금융 중심지의 압박을 견디며 초기의 사명을 잃지 않을 수 있을지가 의문으로 남는다. 결국 비트코인이 다가오는 새로운 금융 환경에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가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