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살바도르, 2024년 이후 비트코인 추가 구매 계획 없음…IMF 보고서 확인

엘살바도르 정부가 비트코인(BTC)을 추가로 매입할 계획이 없음을 국제통화기금(IMF)의 최신 보고서에서 확인했다. IMF는 엘살바도르 정부와 체결한 대출 협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2024년 12월 이후 비트코인 매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엘살바도르의 디지털 자산 동향과 정부의 재정 리스크 관리 상태를 점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엘살바도르에서 운영 중인 치보(Chivo) 비트코인 지갑은 사용자들의 입금 및 출금에 따른 BTC 잔고의 변동을 반영하지 않고 있으며, 판매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일부 외부에서는 엘살바도르의 공공 부문이 지속적으로 비트코인을 축적하고 있다는 잘못된 해석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IMF는 이러한 상황이 단순히 장부 처리상의 "경미한 불일치"라고 설명했다.
엘살바도르 중앙은행의 총재인 더글라스 파블로 로드리게스 푸엔테스와 재무장관 헤르손 로헬리오 포사다 몰리나가 서명한 IMF 보고서 내 의향서(letter of intent)에는 다음과 같은 공식 입장이 담겼다. “프로그램 이행에 따른 약속으로서 공공 부문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변화가 없으며, 치보 지갑 내 공공 부문의 역할을 축소하고 비트코인 프로젝트의 방향을 재정립함으로써 재정적 리스크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IMF 보고서 발표는 엘살바도르 정부가 비트코인 프로젝트에 대해 보다 신중한 접근을 취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정부의 비트코인 관련 정책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IMF 측은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사무소 및 국가 디지털 자산 위원회에 공식 입장을 요청하였으나 현재까지 답변은 없는 상황이다.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프로젝트는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중요한 사례로, 정부의 디지털 자산 정책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한 이후 국민의 재정 상태 및 경제적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이번 IMF의 발표는 이러한 맥락에서 엘살바도르가 디지털 자산의 미래에 대해 보다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정책은 향후 다른 나라의 디지털 자산 도입 여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각국의 중앙은행 및 정부는 이 뉴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엘살바도르의 사례는 다른 국가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