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지능형 인프라' 중심 대형 파트너십 발표…DEX 및 소각 전략 강화

시바이누(SHIB) 프로젝트의 핵심 개발자 시토시 쿠사마(Shytoshi Kusama)가 새로운 파트너십을 암시하며, 시바이누 생태계의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구체적인 파트너십 세부 사항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시바리움 생태계 내에서 ‘지능형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와 관련하여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은 커뮤니티 내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SHIB의 마케팅 담당자인 루시(Lucie)는 최근 엑스(X, 구 트위터)에서 진행된 스페이스 방송을 통해, 시바이누 생태계가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고 있음을 알렸다. 특히 SHIB 알파 레이어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유틸리티 토큰인 ‘트리트(TREAT)’가 이 생태계의 발전을 이끌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로운 알파 레이어는 애플리케이션 특화 환경을 제공하며, 맞춤형 기능과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도 함께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이번 주에는 SHIB 생태계 내에서 운영될 새로운 분산형 거래소 ‘포지션(Position)’이 론칭된다. 이 DEX는 탈중앙화 금융(DeFi)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거래, 수익 농사(farming), 그리고 커뮤니티 기반 보상 시스템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는 SHIB가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시바이누 커뮤니티는 SHIB 소각을 위한 전략으로 ‘본(BONE)-SHIB 유동성 풀’에 참여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커뮤니티 계정 @Shibizens는 이 풀을 통해 일정량의 SHIB가 세컨드 레이어 기술인 시바토치(ShibTorch)를 활용해 지속적으로 소각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동성 공급자는 스왑 수수료를 받아 거래량 증가와 함께 코어 토큰인 SHIB와 BONE의 요구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모든 변화는 단기적인 가격 PKR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생태계 성장을 목표로 한 전략적 전환으로 해석된다. 블록체인 인프라 확장과 실질적인 유틸리티 강화를 위해 이루어질 이번 파트너십의 구체적 윤곽이 드러난다면, 시바이누는 단순히 밈코인으로서의 이미지를 넘어 실용적 탈중앙 네트워크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