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하락 속에서도 낙관론 여전…트럼프, 암호화폐 승인 신호

최근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들이 하락세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정부와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긍정적인 발언에도 불구하고 XRP, 이더리움, 스텔라(XLM) 등의 가격은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이러한 분위기는 시장이 이미 극심한 상승을 경험한 뒤 일어난 건강한 조정으로 해석되며, 장기적인 강세 흐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SEC의 폴 앳킨스 위원은 CNBC 인터뷰를 통해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과 암호화폐를 사실상 승인했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특히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지니어스법(Genius Act)'을 언급하며, 이 법안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금융 혁신법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앳킨스 위원은 스테이블코인이 시장의 위험을 줄이고 거래 정산 지연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디지털 자산 도입이 글로벌 금융 시장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은 최근 고점인 12만 3,000달러(한화 약 1억 7,097만 원)에서 약 11만 7,900달러(한화 약 1억 6,339만 원)로 떨어지며 지지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3,790달러(한화 약 527만 원) 아래로 밀려났고, XRP는 한때 3.62달러(한화 약 503만 원)에 도달했지만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이러한 가격 흐름은 최근 몇 주간의 급등세에 대한 자연스러운 조정과, 9~10월로 예정된 디지털 자산 규제 법안 통과를 앞둔 시장의 불확실성이 반영된 결과로 평가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조정이 오히려 상승장의 연장선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 라크 데이비스는 이번 사이클이 과거 2017년이나 2021년과는 다르다고 주장하며, 기관 자금 유입과 ETF 승인, 대형 기업의 암호화폐 채택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이번 상승장이 2004년부터 2011년까지의 금 상승 장세처럼 느리지만 강한 추세를 만들어갈 가능성을 보여주며, 암호화폐 시장의 정점이 2027~2028년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했다.
또한, 글로벌 리서치 기업 번스타인(Bernstein)은 비트코인이 2026년 초까지 20만 달러(한화 약 2억 7,800만 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들은 이번 상승장이 "장기적이고 인내심을 요구하는" 사이클이 될 것이라고 분석하며, 과거의 단기 급등·급락 싸이클과는 차별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비록 이번 하락이 단기적인 혼란을 일으킬 수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와 SEC의 태도 전환은 디지털 자산 투자자들에게 구조적인 낙관론을 주고 있다. 시장이 당장의 조정을 극복한 뒤, 앞으로 몇 년간 지속적인 상승 흐름을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