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모두를 위한 온체인 거래소 목표로 주식 및 예측시장 통합 계획 발표

코인베이스(COIN)가 전통적인 암호화폐 거래의 한계를 넘어, 주식과 실물 자산까지 포함한 '모든 것을 위한 거래소'라는 혁신적인 플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이 새로운 플랫폼은 암호화폐 외에도 토큰화된 주식, 파생상품, 예측 시장, 초기 단계 토큰 거래 등 다양한 현실 세계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에서 통합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코인베이스는 전통 금융과 탈중앙화 금융 간의 경계를 허물고자 하며, 새로운 경제 인프라를 창출할 전망이다.
맥스 브란즈버그(Max Branzburg) 코인베이스 제품 부사장은 CNBC 인터뷰에서 “우리는 모든 종류의 자산 거래를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거래소를 구축하고 있다”며, “주식과 예측 시장까지 모든 자산을 온체인화해 보다 빠르고 글로벌한 경제 인프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포부는 금융 시장의 재편을 목표로 하는 중장기적 비전으로 해석된다.
일부 초기 서비스로는 미국의 상장 주식을 토큰 형태로 제공하는 상품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실시간 정산이 가능하고, 24시간 거래가 가능한 주식 시장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전통적인 증권사 시스템에 비해 비용 부담이 적고 이용의 편리함을 제공하므로,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코인베이스는 실생활 사건 결과에 베팅할 수 있는 예측 시장 기능도 통합할 예정이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플랫폼인 폴리마켓(Polymarket)과 유사하지만, 코인베이스의 통합된 환경을 통해 더 광범위한 사용자 기반을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구체적인 서비스 출시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코인베이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사전 승인 및 제한적 운영 허가를 받기 위해 관련 절차를 진행 중이다.
규제 당국의 승인이 이루어진다면, 이 플랫폼은 실물 자산의 토큰화를 통한 금융 혁신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발표는 코인베이스가 단순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벗어나, 성숙한 금융 인프라로 자리매김하는데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인베이스는 이날 2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위와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회사는 6월 30일로 마감된 분기에 주당순이익(EPS) 12센트를 기록하고, 매출은 14억 9,700만 달러를 달성했으나,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함에도 시장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했다. 특히, 거래 수익은 전분기 대비 39% 감소한 7억 6,400만 달러였고, 현물 거래량 또한 40% 줄어든 2,370억 달러로 나타났다. 개인 투자자 거래액은 450억 달러, 기관 거래액은 1,940억 달러로 각각 감소하며 우려를 낳았다.
정기 구독 및 서비스 수익은 6억 5,600만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그 중 스테이블코인 수익은 12% 상승한 3억 3,200만 달러로 유일한 개선 부문이 되었다. 코인베이스는 7월 중 거래 수익이 약 3억 6,000만 달러, 구독 및 서비스 수익이 6억 6,500만에서 7억 4,500만 달러 사이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코인베이스의 이러한 계획은 단순히 암호화폐 생태계를 확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금융 시장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포부를 반영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가 규제 당국과의 긴밀한 협력에 달려 있다고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