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 비트코인·이더리움 ETF에 현물 환매 방식을 공식 승인…암호화폐 제도적 편입 가속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해 '현물 기반 환매(in-kind redemption)' 방식을 공식적으로 허용했다. 이번 결정은 29일(현지시간)에 발표되었으며, 이는 암호화폐 제품의 제도적 편입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SEC의 이번 조치는 기존의 현금 교환 방식을 대신하여 ETF 발행사와 승인된 참여자들이 실제 암호화폐를 직접 교환하여 ETF를 생성하거나 환매할 수 있게 하여 현물 기반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과거의 현금 기반 환매 모델은 거래 비용 증가, 가격 괴리, 유동성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번 결정은 그러한 구조적 비효율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기관 투자자들에게 더 매력적인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제도권 참여를 고려하는 금융 기관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유입될 가능성을 높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알트코인 기반 ETF나 스테이킹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금융 상품들이 제도적 틀 안에서 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블록핀(BlockFin)의 관계자는 SEC의 결정을 단순한 운용 방식 변경으로 국한할 수 없고, 이는 암호화폐가 제도권 금융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현물 기반 환매의 도입은 ETF 구조의 유연성을 높여, 향후 더 많은 기관 자금 유입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블록핀은 현물 및 선물 거래에 특화된 글로벌 차세대 암호화폐 거래소로, 400개 이상의 USDT-M 선물 페어를 포함한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블록핀은 최근 국내 거래소 고팍스(GOPAX) 및 싱가포르 법인 업비트 SG(UBSG)와의 연동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이번 SEC의 결정과 함께 플랫폼의 경쟁력과 시장 확대 전략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SEC의 이번 발표는 암호화폐가 단순한 디지털 자산을 넘어서 제도화된 금융 상품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암호화폐 시장으로의 순조로운 발전을 이끌어낼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암호화폐 투자자와 기관들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시장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번 조치는 향후 암호화폐와 관련된 다양한 혁신과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