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바인, 월드 ID 기반으로 무담보 암호화폐 대출 3만 건 이행…채무불이행률 40% 기록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있는 대출 플랫폼 디바인 리서치(Divine Research)가 지난해 12월 이후 약 3만 건 이상의 무담보 단기 암호화폐 대출을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플랫폼은 대출 신청자의 신원을 인증하기 위해 오픈AI(OpenAI)의 CEO인 샘 알트먼(Sam Altman)이 개발한 홍채인식 기반의 월드 ID(World ID)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디바인은 주로 1000달러(약 139만 원) 이하의 USDC 스테이블코인으로 대출을 이루며, 전통 금융 서비스에 접근이 어려운 해외 사용자들을 주요 대상으로 삼는다. 월드 ID 기술은 대출자가 채무 불이행 후 동일한 인물이 중복 계정을 생성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위험도를 줄이고 대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디바인의 창립자인 디에고 에스테베즈(Diego Estevez)는 인터뷰를 통해 "우리는 고등학교 교사나 과일 노점상처럼 단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누구에게나 대출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서비스를 “강화된 형태의 마이크로파이낸스”라고 언급하며,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소외된 일반 시민들에게 새로운 금융 접근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플랫폼의 대출 이자율은 연 20~30%에 이르며, 첫 거래에서 채무불이행률은 약 40%로 보고되었다. 이는 상당히 높은 수치이며, 에스테베즈는 이러한 손실률을 높은 이자율로 보전할 수 있다고 말하며, 대출자에게 발급되는 월드 토큰은 일부 회수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디바인의 실험은 탈중앙화 금융(DeFi)과 생체 인증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마이크로대출 모델로 주목받고 있으나, 높은 금리와 부실률은 이 모델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디바인은 기존 금융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접근법과 기술을 통해 금융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려 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금융 서비스에 소외된 소비자들에게 큰 의미를 지닌다.
결과적으로 디바인의 접근 방식은 혁신적인 분산형 금융 모델을 기반으로 한 대출 서비스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지만, 높은 채무불이행률이 이 모델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큰 도전 과제가 될 것이라는 점은 간과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디바인은 기술적 접근과 고객의 요구를 조화시키며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