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 TVL 1240억 달러로 회복, 수이와 트론 10% 이상 증가

디파이(DeFi) 생태계의 총예치액(TVL)이 1240억6500만 달러로 소폭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4일 오전 9시 기준으로 디파이라마의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TVL은 전일 대비 0.46% 증가했으며, 이는 지난주(1177억1000만 달러) 대비 약 5.41% 상승한 수치다. 연초 기록인 1172억2000만 달러와 비교할 때도 약 5.84% 증가한 모습이다. 이러한 수치는 시장의 안정성과 회복 기대감을 시사한다.
체인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이더리움이 55.15%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솔라나(8.19%), 비트코인(5.45%), BSC(5.31%), 트론(3.77%), 베이스(3.00%), 아비트럼(2.23%), 하이퍼리퀴드 L1(1.51%), 수이(1.43%), 아발란체(1.23%)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위 10개 체인은 전체 TVL의 약 87.27%를 차지하며, 이더리움은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디파이 생태계의 중심을 확고히 하고 있다.
주간 TVL 변동률을 보면, 대부분의 주요 체인들이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특히 수이(10.68%)와 트론(10.33%)이 10%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 외에도 하이퍼리퀴드 L1(7.75%), 아발란체(6.37%), 솔라나(6.26%), 이더리움(6.17%) 등이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 같은 변화는 전체적으로 주요 체인들의 TVL 향상이 나타나면서 시장 전반의 회복 기대감을 확산시키고 있다.
디파이 부문별 TVL 순위를 보면, 대출(Lending) 부문이 559억9000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 497억8500만 달러, 브리지 477억9600만 달러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199억9700만 달러, 리스테이킹(Restaking)은 198억7100만 달러, 실물자산 토큰화(RWA) 부문은 128억2500만 달러, 리퀴드 리스테이킹(Liquid Restaking) 102억34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또한 주간 기준으로 상승률을 살펴보면, 유동성 스테이킹(8.29%), CDP(8.06%), 리스테이킹(6.91%), 대출(6.56%), DEX(5.37%) 등이 강세를 보인 반면, RWA(1.48%), 리퀴드 리스테이킹(1.87%), 브리지(3.23%)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런 경향은 시장 전반의 유입 흐름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디파이 프로토콜 순위를 살펴보면,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프로토콜은 아베(AAVE)로 TVL은 269억2600만 달러에 달하며, 주간 기준 7% 상승했다. 2위는 리도(Lido), TVL이 236억1300만 달러로 주간 7.08% 증가했다. 3위는 아이겐레이어(EigenLayer)로, TVL은 125억7500만 달러로 주간 9.36%의 상승률을 보였다.
4위는 바이낸스 스테이킹 ETH(Binance staked ETH)로 TVL 71억6700만 달러에 주간 13.45% 상승, 5위는 이더파이(ether.fi)로 TVL 67억4800만 달러, 주간 6.20% 상승했다. 10위권 중에서는 바이낸스 스테이킹 ETH가 가장 높은 주간 상승률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에세나(Ethe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