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5% 상승, 알트코인은 최대 25% 하락… 시장 우민과 격차 심화

2025년 상반기 암호화폐 시장은 '비트코인의 독주와 알트코인의 침묵'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관 자금이 집중적으로 유입된 비트코인은 상승세를 유지하는 반면, 알트코인은 공급 과잉과 수요 부족으로 인해 대다수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주요 암호화폐들이 언락되는 시점과 맞물리며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비트코인은 올해 초 63,000달러에서 시작하여 6월 말에는 약 72,000달러에 도달하는 등 15% 상승한 성과를 보였다. 반면, 이더리움은 같은 기간 동안 약 25% 하락했고, 솔라나는 18% 하락하며 주요 알트코인들의 부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의 수익률 격차는 약 30%포인트에 달하게 되었다.
올해 상반기 동안 약 590억 달러, 즉 8조 원 규모의 토큰 언락이 진행되었다. 이는 아르비트럼, 옵티미즘, 폴리곤, SUI, 에이프코인 등 여러 주요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언락으로, 이로 인해 시장에서 공급 과잉 상황이 심화되고 있다. 공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 하락 압력이 가중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약 300억 달러 이상의 추가 언락이 예고되어 있어 투자자들은 더욱 경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개인 투자자들의 이탈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밈코인, 즉 도지코인, 페페, 플록키와 같은 테마형 알트코인들은 투자 심리 악화의 직격탄을 맞아 전 고점 대비 최대 60% 이상 하락했다. 시장 전반의 거래량은 2021~2022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디앱레이더에 따르면 주요 체인에서의 활성 디앱 사용자 수는 전년 대비 18% 감소했다. 또한, 구글 트렌드 및 트레이딩뷰에서의 검색 트래픽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어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실질적으로 줄어들고 있음을 나타낸다.
시장 분석업체 샌티먼트는 "공포 심리가 극단에 이른 상황에서 숏 포지션 청산에 따른 단기 반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라고 전했다. 하지만 전문가는 "이는 기술적 반등에 지나지 않으며, 토큰 유통 구조와 사용자 수요, 수익 모델 등이 개선되지 않는 한 중장기적으로 회복은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ETF 자금을 중심으로 비트코인이 제도권 자산으로 자리잡는 반면, 알트코인은 여전히 투기성 고위험 자산으로 분류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자 입장에서 알트코인의 시장은 여전히 공급 주도적이며, 내재 가치 상승 요인을 찾기 힘든 상황"이라고 강조하며, 언락 부담 해소와 실질적 수익 모델의 확보가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