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매도세 증가, 이더리움 고래 매집…시장 전략 크게 엇갈려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비트코인 매도세 증가, 이더리움 고래 매집…시장 전략 크게 엇갈려

코인개미 0 3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최근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이 차익을 실현하는 현상과 함께 고래 투자자들의 이더리움 매집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 매도세가 크게 증가한 반면, 이더리움은 대규모 매집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양상이다.

온체인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의 데이터에 따르면, 7월 말 기준으로 바이낸스 내 단기 보유자들의 비트코인 유입량이 1만 BTC에서 3만 6,000 BTC로 급증했다. 이는 개인 투자자들이 가격 상승세에 따라 차익을 실현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8월 1일에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에서 저항선을 만나 되돌림 현상이 발생했다.

반면, 이더리움의 경우 고래 투자자들이 거래소에서 자금을 대거 인출해 장기 보유를 선택하는 모습이다. 7월 31일에는 고래 지갑에서 약 9억 달러(약 1조 2,510억 원) 규모의 ETH가 중앙화 거래소에서 인출되었고, 이는 향후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대규모 시장 참여자가 자산을 식별 불가능한 콜드월렛으로 옮겼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비트코인 유입과 이더리움 유출의 대조적인 흐름은 시장에서의 전략적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리테일 투자가들은 단기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데 비해, 기관 중심의 대형 투자자들은 이더리움에 대한 중장기적 신뢰를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투자 성향의 차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 금리 동결 발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금리 부담이 완화되면서 기관들은 위험 자산을 선호하게 되었으나, 개인 투자자들은 여전히 변동성에 대한 우려로 보수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

현재의 투자 성향은 옵션 시장에서도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온체인 파생상품 플랫폼 Derive.xyz에 따르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간의 변동성 차이가 확대되었고, ETH의 30일 변동성은 BTC보다 30% 높은 수준에 이를 정도로 차별화되고 있다. 이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10주년 기념 행사나 국채 담보 ETH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이더머신'과 '비트마인'의 영향으로 투자 심리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7월 말, 시장에서는 약 60억~80억 달러(약 8조 3,400억 원~11조 1,200억 원)의 실현 이익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속적인 가격 변동 속에서 일부 기관들이 3분기에 대처할 수 있는 잠재적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옵션 포지션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비트코인의 30일 스큐(왜도) 지표는 +3%에서 -1.5%로 전환되었으며, 풋옵션 수요가 콜옵션보다 많아져 단기적인 하락 방어 심리가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총체적으로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한 단기 차익 매도 흐름과 이더리움을 둘러싼 고래들의 조용한 매집, 그리고 옵션 시장의 포지셔닝은 현재 시장이 서로 다른 양상의 두 공간 속에서 공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리테일과 고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사이의 전략적 격차는 향후 시장 변동성을 더욱 확대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