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 CEO, 밈 코인과 NFT를 '디지털 쓰레기'로 언급하며 논란 초래

솔라나랩스(Solana Labs)의 최고경영자(CEO) 아나톨리 야코벤코(Anatoly Yakovenko)는 최근 밈 코인과 NFT를 '디지털 쓰레기(digital slop)'라고 표현하여 업계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그의 발언은 이더리움 기반의 L2 블록체인 베이스(Base)를 개발한 제시 폴락(Jesse Pollak)과의 공개 논쟁으로 이어지며 더욱 주목을 받았다.
이 논란은 주말 동안 X(구 트위터)에서 활발히 진행되었고, 야코벤코는 “나는 수년 전부터 밈 코인과 NFT가 본질적으로 가치가 없다고 주장해왔다”며, 이 자산들을 무료 모바일 게임의 랜덤 박스와 비유하였다. 이에 대해 폴락은 NFT가 문화적 및 예술적 가치가 있음을 강조하며, "이것은 독립적으로 가치 있는 콘텐츠"라고 반박하였다.
네트워크 사용자들도 이 논란에 적극 참여했다. 한 사용자는 “밈 코인이 없다면 누가 솔라나를 사용할 것인가?”라며 야코벤코의 주장에 대한 반박을 날렸고, 다른 이들은 그가 솔라나의 부흥을 이끈 중요한 요소들을 경시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NFT 컬렉션 ‘스페이스 라이더스(Space Riders)’의 공동 창립자는 “그의 주장에 일리가 있지만, 사람들은 디지털 쓰레기를 좋아하면 소비를 지속할 것”이라는 입장을 제시하기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밈 코인과 NFT는 솔라나 생태계의 성장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신디카(Syndic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6월 현재 솔라나의 디앱(DApp) 기반 월간 수익 중 62%가 밈 코인 관련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펌프펀(Pump.fun)'은 단순한 밈 코인 발행 도구에서 출발해 현재 수익 공유형 거래소로 발전하며, 1년 연속으로 솔라나 내 최고 매출 디앱 자리를 지키고 있다.
펌프펀은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틱톡(TikTok)과 트위치(Twitch) 등의 대형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의 경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유저 참여 중심의 짧은 콘텐츠와 토큰 보상을 결합하여 차세대 디지털 문화 생태계의 주역이 되고자 하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야코벤코의 발언은 밈 코인과 NFT의 가치에 대한 논란이 복잡하게 얽힌 암호화폐 생태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가치에 대한 논쟁 뒤에는 대중의 트렌드 수요와 네트워크 성장의 현실이 맞물리고 있다. 밈 코인과 NFT가 과연 디지털 쓰레기인지 아니면 대중문화의 새로운 흐름인지는 여전히 시장이 판단해야 할 숙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