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에서 50대 한국인의 27%가 암호화폐 보유, 70%는 추가 투자에 관심

최근 한 보고서에 따르면, 20대에서 50대 사이의 한국인 중 27%가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70%는 향후 암호화폐 투자를 확대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가상 자산이 퇴직 계획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Hana 금융 연구소에서 발표한 '2050 세대의 가상 자산 투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대에서 50대의 한국인 중 디지털 자산에 투자하는 비율은 25%를 초과 하며, 이들 암호화폐 투자는 평균적으로 전체 금융 포트폴리오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40대가 31%로 가장 높은 보유율을 기록하였고, 30대는 28%, 50대는 25%로 뒤를 이었다.
50대 응답자의 78%는 암호화폐를 자산 형성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53%는 퇴직 자금을 준비하기 위해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성장 가능성, 포트폴리오 다각화, 구조화된 저축 계획을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주요 동기로 꼽고 있다.
앞으로 70%의 응답자가 추가 암호화폐 투자를 원하는 만큼, 이들 중 42%는 전통 금융기관의 암호화폐 시장 참여 확대가 있을 경우 더 많은 투자를 고려하겠다고 응답했으며, 35%는 더 강력한 법적 보호가 신뢰를 높이는 주요 요인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암호화폐 투자자는 점차 정기적으로 거래를 진행하고 있으며, 정기 구매 비율은 10%에서 34%로 증가했고, 중기 거래는 26%에서 47%로 늘어났다. 반면 단기 거래는 약간 감소세를 보였다. 투자자들이 정보를 얻는 방식도 변화하고 있으며, 구두 정보 전달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드는 대신, 공식 거래소 및 분석 플랫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여전히 주요 선택지로, 60%의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경험이 쌓이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알트코인이나 스테이블코인으로 분산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비트코인 외의 자산인 NFT와 STO는 여전히 틈새 시장으로 남아 있으며, 대다수 투자자는 90%가량이 단순히 암호화폐에 국한되어 있다.
Hana 금융 연구소의 윤선영 연구원은 “가상 자산이 투자자의 포트폴리오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법적 제도화와 기존 금융 부문의 역할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며 의견을 전했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소에 여러 개의 은행 계좌를 연계하는 데 있어 제한이 있다는 점이 주요 문제로 지적되었다. 응답자 중 70%는 이러한 규제가 완화된다면 자신의 주요 은행을 선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장 변동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광범위하게 존재하는데, 응답자의 56%가 이러한 우려를 표시했다. 거래소 또는 사기 관련 위험에 대한 걱정은 추가 투자를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한국의 암호화폐 붐은 많은 젊은이들이 경제적 절박함으로 인해 암호화폐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اقتصاد 전문가들은 청년 실업률이 6.6%에 달하는 한국에서 많은 젊은이들이 빠른 수익을 추구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이상보다는 암호화폐 투자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암호화폐는 한국의 젊은 세대에게 유일한 유효한 투자 옵션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들은 암호화폐 기술은 알고 있으나 그 인프라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