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11만 달러 돌파 초읽기…트럼프 경제법안 긍정적 영향

비트코인(BTC) 가격이 다시금 상승세를 보이며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고지를 넘볼 준비를 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약 10만 9,500달러(약 1억 5,206만 원)에서 거래되며, 이는 지난 5월 22일 사상 최고가와 비교해 약 2% 하락한 수치다. 그러나 시장의 기대감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며, 비트코인의 누적 상승률은 2013년 7월 6일 기록된 사상 최저가 대비 약 161,270%에 달한다.
이번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최근 미국 의회를 통과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법안인 ‘원 빅, 뷰티풀 빌(One Big, Beautiful Bill)’이 자극한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법안은 암호화폐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개인 투자자에 대한 세제 혜택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100% 보너스 감가상각' 규정을 재도입해 비트코인 채굴 기업의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채굴 기업들이 장비 구입 비용을 당해 연도에 전액 비용 처리할 수 있게 해 채굴 활동을 확대하고 이에 따른 해시레이트 증가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정책적 변화는 전통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다.
비트코인의 상승세와 함께 기관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블랙록이 운영하는 비트코인 현물 ETF인 'IBIT'는 최근 자사의 주력 상품인 S&P 500 추종 ETF보다 더 많은 운용 수수료 수익을 내고 있어,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여전히 뜨거움을 보여준다. 이는 비트코인 시장에 대한 신뢰도와 관심이 높은 수준임을 방증한다.
알트코인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더리움(ETH)은 5.8%, 도지코인(DOGE)은 7.7%, 카르다노(ADA)는 8.5%, 하이프(HYPE)는 5.5%, 수이(SUI)는 11.6% 각각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는 중이다. 그 중에서도 밈코인인 본크(BONK)는 하루 만에 20% 급등하였고, 파트코인(Fartcoin)도 17% 상승하며 주목받았다. 이러한 흐름은 시장의 투기 열기가 여전히 뜨겁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이날 스테이블코인들은 부진한 성적을 나타냈다. 일부 코인, 예를 들어 페스트토큰(FTN) 및 비트코인캐시(BCH)는 거래 가격이 제자리걸음을 하여 아이러니한 점을 보였다.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를 종합하자면,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정책 변화, 기관 수요, 그리고 투자 열기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한 결과로 평가된다.
다가오는 몇 주 동안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시장에 어떤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지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비트코인 가격이 새로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할 것인지에 대해 향후 시장의 전망이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