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빈후드에서 XRP 보유, 장기 투자자로서의 선택은 신중해야

XRP를 로빈후드에서 보유하는 것이 적정한 선택인지에 대해 레딧 커뮤니티에서 뜨거운 논의가 펼쳐지고 있다. 한 이용자가 XRP를 2.50달러(약 3,475원)에 매수한 후, 급격한 상승장이 올 경우 로빈후드에서 보유하는 것이 위험하지 않을까 하는 질문을 제기했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커뮤니티에서는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경고의 목소리를 높이며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로빈후드 플랫폼을 기피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투자자들에게 자산에 대한 제한된 통제권과 월렛 접근 불가라는 점이다. 한 이용자는 "로빈후드가 계정을 잠가 수년간 접근조차 못한 적이 있다"고 언급하며, 시장이 큰 변동성을 보일 때 자산 운영이 불가능해지는 것이 큰 리스크라고 강조했다. 또한 2021년 게임스톱과 AMC 주식 거래 중단 사건을 언급하며, "이용자보다는 헤지펀드를 보호한 행동"이라며 신뢰도의 하락을 지적했다.
실제로 로빈후드에서 XRP를 보유할 경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자산에 대한 실질적 소유권이 부재하게 된다. 둘째, 전용 지갑 주소가 제공되지 않아 출금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 셋째, 시장이 급변할 경우 거래 제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과거 사건으로 인해 로빈후드에 대한 신뢰도는 하락한 상황이다. 비록 수수료가 없는 장점은 존재하지만, 커뮤니티는 '편의성'보다 '통제권'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업홀드(Uphold)와 크라켄(Kraken) 같은 다른 거래소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업홀드는 XRP의 온체인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지갑 지원의 효율성이 높으며, 크라켄은 낮은 수수료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한 이용자는 3개의 AI 비교툴을 활용해 크라켄을 최적의 플랫폼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코인베이스도 약 0.0184%(약 0.02%)의 수수료로 장기 투자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용자는 로빈후드의 '편리성'과 '수수료 없음'을 옹호하고 있다. 특히 초보 투자자에게는 접근성이 높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조차도 “장기 보유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데는 공감하는 모습이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이용자들은 장기 투자자로서 XRP를 단순히 거래소에 두지 말고, '콜드 월렛'을 활용해 자산을 온전히 소유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자가 보관(self-custody) 방식은 기술적 문제나 오프램프(원화 환전) 이슈가 발생할 수 있지만, 거래 정지나 출금 제한 사태에 있어서는 훨씬 안전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따라서 XRP를 보유한 투자자라면 거래 편리성보다 '자산에 대한 통제권'을 중시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현명한 전략이라는 결론이 도출되고 있다.
